공거제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과거시험관제(科擧試驗官制).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과거시험관제(科擧試驗官制).
내용

원래 고대 중국의 제후나 지방장관이 매년 천자에게 유능한 인물을 천거하던 제도였으나, 과거제도를 처음으로 실시한 수나라에서 각 지방으로부터 온 선비를 뽑는 주임관으로 지공거(知貢擧)를 둔 데서 비롯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광종 때 쌍기(雙冀)를 지공거로 임명한 뒤부터 과거를 실시할 때마다 지공거를 임명하였고, 그 뒤 972년(광종 23) 동지공거를 더 두었다가 폐지하였다. 977년(경종 2) 친시(親試)에 국한된 독권관제(讀卷官制)를 실시하였고, 996년(성종 15) 지공거를 도고시관(都考試官)으로 개칭하였다가 이듬해 다시 환원시켰다.

1083년(문종 37) 다시 동지공거를 두어 상례(常例)로 확정하였다. 그러다가 1315년(충숙왕 2) 지공거를 고시관(考試官), 동지공거를 동고시관(同考試官)이라 개칭하였으나 1330년 다시 환원시켰다.

대체로, 이부(二府)에서 지공거, 경(卿)·감(監)이 동지공거가 되었으나 학식이 뛰어나 학사를 겸대(兼帶)한 자가 임명되었다. 한편, 국속(國俗)에 지공거·동지공거를 학사(學士)라 칭하고 급제자인 문생(門生)은 은문(恩門)이라 하여 좌주(座主)와 문생의 예를 매우 중히 여겼다. → 지공거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高麗時代) 지공거(知貢擧)에 대한 연구(硏究)」(최혜숙, 『최영희선생화갑기념한국사학논총』, 1987)
「고려지공거(高麗知貢擧)에 대한 일고찰(一考察)」(박귀환, 『우석사학(友石史學)』 2,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