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물바치기놀이 (바치기놀이)

목차
연극
작품
고려시대 놀이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놀이의 하나.
내용

고려의 2대명절의 하나인 팔관회(八關會)에는 송나라·여진·탐라·일본·아라비아 상인들이 와서 공물(貢物)을 바치는 형식으로 국제무역이 이루어졌는데, 이 공물을 바치는 것을 놀이로 꾸민 것이 공물바치기놀이이다.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1165년(의종 19) 4월 좌우번(左右番) 내시들이 경연으로 공물바치기놀이를 하였는데, 그 때 우번에는 귀족자제들이 많아 벼슬아치들을 통하여 공사의 진완물(珍玩物)과 서화들을 모으고, 채붕(綵棚)을 맺고 잡기(雜伎)를 실어 이국인이 공물을 바치는 모양으로 꾸며, 왕에게 청홍의 일산 두 자루와 준마 두 필을 바쳤다.

좌번은 모두 유사(儒士)였으므로 잡희에 익숙하지 못하여 백의 하나도 우번에는 당하지 못하는지라, 우번에 미치지 못함을 부끄러워하여 남의 준마 다섯필을 빌려 바쳤더니 왕이 이것을 모두 받고 좌번에게는 백은(白銀) 10근과 단사(丹絲) 65근을, 우번에게는 백은 10근과 단사 95근을 하사하였다.

그 뒤 좌번은 말값을 갚지 못하여 날마다 빚 독촉을 받으니 사람들이 이를 비웃었다 한다. 이것은 그 전부터 전래한 배우들의 놀이를 귀족자제들이나 선비들이 모방하여 논 것 같다. 이것으로 미루어 당시(12세기 중엽)에 이미 우희(優戱)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연극사』(이두현, 학연사,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