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의 문집 『가오고략(嘉梧藁略)』 제6책에 실려 있다. 『임하필기(林下筆記)』에 의하면, 이유원은 일찍부터 판소리에 관심을 두어 당시의 명창인 고수관(高壽寬) · 송흥록(宋興祿) · 모흥갑(牟興甲) · 김제철(金齊哲)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따라서 그가 자주 판소리를 즐겨 들어왔기에 이같은 시를 지을 수 있었다고 본다.
「관극팔령」은 칠언절구 8수로 엮어진 것으로 판소리 내용을 집약시켜놓고 있어, 한국 판소리 변천사를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작품의 제목과 그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광한춘 제1령(廣寒春第一令)은 「춘향가」의 내용을 한시로 함축시켜 담았고, 연자포 제2령(燕子匏第二令)은 「흥보가」, 예여장 제3령(艾如帳第三令)은 「장끼전」, 중산군 제4령(中山君第四令)은 「수궁가」, 삼절일 제5령(三絶一第五令)은 「적벽가」, 아영랑 제6령(阿英娘第六令)은 「배비장전」, 화중아 제7령(花中兒第七令)은 「심청가」, 광쇠 제8령(光釗第八令)은 「변강쇠가」를 각각 한시로 축약시켜 노래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