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척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고〔琴〕를 타던 악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고〔琴〕를 타던 악공.
내용

고대의 ‘척(尺)’은 음이 ‘치’로서, 이는 우리말로 ‘벼슬아치’·‘장사아치’처럼 직업을 나타내는 호칭인 ‘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삼국사기』직관지에 보이는 구척(鉤尺)·목척(木尺)·대척(大尺)·화척(火尺)과 남산신성비문(南山新城碑文)에 보이는 장척(匠尺)·문척(文尺)·서척(書尺), 그리고 영천청제비(永川菁堤碑) 중 정원비(貞元碑)에 보이는 부척(斧尺) 등이 바로 그러한 것이다.

이 금척은 그 뜻으로 보아서 지금의 국립음악원 같은 데에 소속되어 있던 금(琴)을 연주하는 악사를 가리키는 것이 분명한데, 689년(신문왕 9)에 국왕이 신촌(新村)에 거동하여 잔치를 베풀고 음악을 연주할 때에 「하신열무(下辛熱舞)」·「사내무(思內舞)」·「한기무(韓岐舞)」·「상신열무(上辛熱舞)」·「소경무(小京舞)」·「미지무(美知舞)」에 각각 1명씩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또한, 807년(애장왕 8)에 음악을 연주하였을 때, 처음으로 「사내금(思內琴)」을 연주하였는데 이 때 금척 1명이 붉은 색의 옷을 입었고, 다음에 「대금무(碓琴舞)」를 연주하였을 때에는 금척이 푸른 색의 옷을 입었다고 한다. 사내금을 연주할 때에 금척 다섯 사람이 채색 옷에다 수놓은 부채 및 금실 허리띠를 찼다고 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