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은 ‘기마민족일본정복설’이라고도 한다. 이 학설은 4세기경에 한반도 남쪽 끝을 통과해 구주(九州)지방에 진출한 퉁구스족 계통의 기마민족이 다시 동쪽으로 나아가 일본 열도의 정치세력을 정복, 야마토(大和)국가를 세웠으며, 그 우두머리가 바로 천황가(天皇家)의 시조라고 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는 종래 일본의 천황가가 진무왕(神武王) 이래 왕통계보상 아무런 변화를 겪지 않은 채 연면히 이어져온 이른바 만세일계(萬世一系)라고 주장해온 황국사관을 근본에서부터 뒤집어엎는 새로운 주장이었다.
이처럼 이 학설은 오랜 동안 황국사관에 의해 길들여진 일본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충격적이고도 대담한 가설인 까닭에, 현재까지도 일본 고대사학계에서는 이 가설에 대한 찬반을 둘러싸고 많은 논란을 벌이고 있다. 한편, 이 가설은 간접적으로 한국고대사의 중요한 문제와도 일부 관련되어 있어 한국의 입장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기마민족설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인 1948년 일본 ≪민족학연구 民族學硏究≫지가 ‘일본 민족문화의 원류와 일본 국가의 형성’이라는 주제로 개최한 학술좌담회 자리에서 에가미(江上波夫)에 의하여 제기되었다.
그는 세계대전 이전까지 주로 북중국·내몽고지방에서 행해진 고고학적·민족학적 조사, 연구에 종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던 역사고고학자였다. 다시 말해, 그는 중국대륙 기마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어느 정도 산지식을 가지고 있던 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의 발언내용을 포함한 좌담회의 기사는 1949년에 발행된 ≪민족학연구≫ 13권 제2호에 실렸다. 이것은 뒤에 증보되어 1958년에 ≪일본민족의 기원≫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그런데 에가미는 자신의 견해가 역사학계에서 큰 관심을 끌게 되자, 다시 논문형식으로 보강해, 1964년에 간행된 도쿄대학의 ≪동양문화연구소기요≫ 제32호에 <일본에 있어서 민족의 형성과 국가의 기원>이라는 본격적인 글을 발표하였다.
뒤에 유라시아 및 동북아시아에서 대표적인 기마민족들인 스키타이(Scythai)·흉노(匈奴)·돌궐(突厥)·선비(鮮卑)·오환(烏桓) 등의 역사를 개관하면서 일본 고대사의 구체적인 전개양상과 특징을 이들 기마민족의 그것과 서로 비교한 ≪기마민족국가≫라는 단행본을 출판, 일본 고대국가의 주인공이 기마민족이라는 자신의 결론을 완결된 형태로 제시하였다.
뒤에도 끊임없이 자신의 주장을 수정, 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여 처음 발표할 당시와는 내용상 조금 달라진 대목도 있으나, ≪기마민족국가≫에서 공개한 기본골격만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에가미의 주장에 의하면, 3백년을 전후한 시기에 만리장성 이북에 거주하던 이른바 오호족(五胡族)이 장성을 넘어 중국의 화북지방에 침입하고, 같은 시기에 고구려가 남만주와 한반도지방에 세력을 확대할 즈음, 고구려와 가까운 퉁구스 계통의 북방 기마민족의 일파가 한반도로 남하해 남쪽 끝에 있던 구야(狗邪 : 현재의 김해지방)지방을 기지로 변한을 지배했다고 한다.
그는 중국역사가 진수(陳壽)가 지은 ≪삼국지≫ 동이전 한전(韓傳)에 보이는 삼한세력의 연맹장으로서의 진왕(辰王)이란 바로 이 퉁구스 계통의 정복자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진왕 지배 아래 있던 기마민족은 4세기 초에 현해탄을 건너 북구주 쓰쿠시(筑紫)지방에 상륙해 현지의 정치세력을 병합하고 이른바 한·왜 연합왕국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는 이를 첫 번째의 일본 건국이라고 하면서 주인공은 ≪일본서기 日本書紀≫에 보이는 스진왕(崇神王)일 것으로 보았다.
그에 의하면, 이 세력은 뒤에 다시 기내(畿內) 쪽으로 진출해 4세기 말 내지 5세기 초에 이곳에 강대한 왕권을 확립했는데, 그것이 고대 일본의 통일국가인 야마토조정이라는 것이며, 그 정복의 주체가 바로 천황씨(天皇氏)라고 하였다. 그는 이를 두 번째의 일본 건국이라고 했으며, 주인공은 아마도 ≪일본서기≫에 보이는 오진왕(應神王)일 것이라고 하였다.
에가미의 기마민족 일본정복설은 고고학·문헌학·신화학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뒤에 나온 결론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요한 논거로 삼고 있는 것이 고고학적 자료에 의한 해석이다.
즉, 4세기 말에서부터 5세기 초에 걸쳐 일본의 고분문화(古墳文化)는 내용상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 때까지의 고분문화는 주술적(呪術的)·상징적·평민적·동남아시아적인 것으로 농경민족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 후기의 그것은 현실적·전투적·왕후귀족적·북방아시아적인 내용으로 기마민족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는 이처럼 고분문화의 내용이 전기에서 후기로 발전하는 데 있어서 어떤 일관성·연속성을 찾아보기가 힘들고, 오히려 근본적으로 이질적인 특징을 띠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그 변화 역시 급격한 것으로 파악해 이는 기마민족의 정복에 의한 결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하였다.
한편, 문헌학의 방면에서는 ≪일본서기≫에 보이는 야마토 조정의 국가지배체제의 이원성이라든지, 천황의 상속제도, 여성의 높은 사회적 지위, 그 밖에 정치·군사제도가 대륙 기마민족의 것과 매우 비슷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신화학의 방면에서는 ≪고사기 古事記≫와 ≪일본서기≫에 보이는 일본의 신화가 고구려와 같은 북방 유목민족의 요소가 강한 점, 그리고 진무왕 동정(東征)의 신화전설이 오진왕에 의한 두 번째의 일본 건국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는 점을 들고 있다.
에가미는 뒤에 자신의 주장에서 다소간 후퇴해 북방 기마민족과 남방계 왜인과의 복합민족설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첫째로 일본 고분문화의 편년이 현재는 1948년 당시와 비교해 크게 바뀌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로 조선술과 항해술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4세기 초에 과연 대량의 병마(兵馬)가 현해탄을 건널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한편 한국사의 입장에서 볼 때에도 문제점이 없지 않다. 그의 주장대로 북방의 기마민족이 4세기 초까지 한동안 낙동강 하류지역에 머물러 있었다면 당연히 기마문화의 흔적으로 보이는 유물이 발견되어야 할 것인데, 현재까지 그것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사실상 당시는 낙동강 하류지역이 이미 완전한 농경사회로 굳혀져 있던 때였다.
물론 부산 복천동(福泉洞)을 비롯한 낙동강 중·하류지역의 가야시대 고분에서 기병용의 계갑(挂甲) 등 상당한 숫자의 마구류(馬具類)·무구류(武具類)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제작연대는 대체로 5세기 전반기 이전으로는 올라가지 않는다. 즉, 이것들은 5세기 초에 고구려 광개토왕의 낙동강유역 원정을 계기로 이 지방에 퍼져나가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또한, 진왕의 문제는 더욱 복잡한 논쟁을 유발하고 있다. 한국 역사학계의 지식으로는 삼한세력의 연맹장으로서의 진왕이 출현한 것은 2백년을 전후한 시기이다. 또한 그가 직접 다스렸다고 하는 목지국(目支國)은 마한 가운데의 한 나라일 뿐 결코 가야지방에 있던 나라는 아닌 것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에가미가 진왕을 퉁구스 계통의 정복왕으로서 김해를 중심으로 하여 통치한 것으로 보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다.
하지만 에가미는 김해지방을 다스리다가 북구주로 진격해 들어간 주인공일 것으로 보는 스진왕의 호칭인 ‘미마키이리히코(御間城入彦)’에 주목하고 있다. 즉, 그에게 이 같은 칭호가 붙여지게 된 것은 그가 ‘미마’라는 지방에 있던 궁성에서 살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며, ‘미마’는 일본학계에서 낙동강 유역의 가야사회로 비정하고 있는 ‘미마나(任那)’라는 것이다.
나아가 에가미는 5세기에 들어와 왜국의 왕들이 남중국의 송나라에게 ‘임나왕(任那王)’이라는 호칭 사용을 승인해주도록 끈질기게 요청한 것은 이처럼 과거에 그들의 조상이 남한지역을 지배한 역사적 근거에 입각해서 남한에 대한 잠재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강한 욕구에서 나온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결국 에가미는 임나일본부설 지지자 가운데 한 사람이며, 교묘한 논법으로 역사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기마민족설은 과거 일본학계의 이른바 일선동조동원론(日鮮同祖同源論)의 개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내용 중에 문제점이 있으나 일본 고대국가와 일본 민족의 기원을 동북아시아대륙, 특히 한반도와의 관련에서 본격적으로 추구해보았다는 점에서 참신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본학계에서 찬반논쟁이 거듭되는 가운데, 이 학설에 일부 수정을 가한 민족학자 우메사오(梅棹忠夫)의 ‘퉁구스 수군설(水軍說)’, 역사학자 미즈노(水野祐)의 ‘네오 기마민족설’, 추리소설가 마쓰모토(松本淸張)의 ‘제3세력론’ 등이 잇따라 나왔다.
또한 미국의 동양학자 레디아드(Ledyard, G.K.)가 이를 일부 수정해 백제와 형제관계에 있는 부여족이 구주지방을 정복하였다는 설을 내고 있다. 그리고 천관우(千寬宇)가 기마민족이 아닌 기병집단의 일본진출설을 주장하고 있는 것 등은 모두 기마민족설이 던진 커다란 충격의 여파로 간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