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주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조선시대, 양안에서 기경전의 ‘주(主)’로 등재된 인명.
내용 요약

기주(起主)는 조선시대, 양안에 기경전의 ‘주(主)’로 등재된 이름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양안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는 양안에 ‘주(主)’로 등재된 이름을 농가 세대를 대표하는 해당 토지 소유주의 실제 이름이라고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이해에 대해 여러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양안에서 기경전의 ‘주(主)’로 등재된 인명.
내용

조선시대에 양안(量案)에 수록된 토지에 대한 정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기경전(起耕田) 혹은 진전(陳田) 여부, 주1, 결부(結負)의 수와 함께 해당 토지의 ‘주(主)’로 기재되는 이름을 꼽을 수 있다. 경자양전(庚子量田) 이후로는 대개 해당 토지가 기경전이면 ‘起主 ○○○’ 또는 ‘起 ○○○’ 등으로, 진전이면 ‘陳主 ○○○’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경자양안의 기주 표기는 금(今)과 구(舊) 2가지 정보를 모두 수록하도록 되어 있었다. 전자는 경자양전 때의 ‘주’, 후자는 갑술양전(甲戌量田) 당시의 ‘주’인데, 갑술양전의 정보가 없는 사례도 많았다. 또한 ‘주’ 이외에 ‘시(時)’ 혹은 주3’이 기재되는 사례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의 기재 양식은 진전도 다를 바가 없었다.

양안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 양안에 ‘주’로 등재된 이름은 농가 세대를 대표하는 해당 토지 소유주의 실제 이름이라고 간주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시’ 혹은 ‘시작’으로 기재된 이름은 해당 토지의 경작자로 이해되었다. 즉, ‘주’만 기재된 경우는 해당 토지의 자작농으로, ‘주’와 ‘시’가 모두 표기된 경우는 전주(田主)와 작인(作人)의 관계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양안과 족보, 고문서 등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농가 세대의 대표자가 아니더라도 경자양안에 ‘주’로 등재될 수 있었음을 밝혔고, 나아가 양안에는 다른 사람의 이름을 대신 올리는 대록(代錄) 현상과 1명의 토지를 여러 이름으로 나누어 올리는 분록(分錄) 현상이 적지 않게 나타났음이 확인되었다.

당시 양반들은 양안뿐만 아니라 각종 주2 대장(臺帳)에 이름을 올릴 때 자신들의 노비 이름을 대신 사용하였는데, 이를 호명(戶名)이라 하였다. 경자양안에 등재된 ‘주’의 이름이 모두 실명인 것은 아니었으며, 호명도 적지 않게 발견된다. 이러한 현상은 기주의 이름이 소유주의 실명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토지에 대한 각종 권리를 행사하는 데 큰 문제가 없었던 상황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경자양전에서는 이전에 비해 양전 과정에서 토지 소유주의 실명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강화되었다고 평가 받는다.

한편 최근에는 실명 여부와 무관하게 양안에서 ‘주’로 기재된 이름을 소유권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만은 없다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朝鮮後期農業史硏究)』(일조각, 1970)
이영훈, 『조선후기사회경제사』(한길사, 1988)

논문

김건태, 「양전과 토지조사사업의 陳田과 ‘主’ 파악」(『규장각』 3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박노욱, 「朝鮮後期 宮房田沓 量案 上의 記錄에 대한 再檢討-主와 同人을 중심으로-」(『조선사연구』 24, 조선사연구회, 2015)
송찬식, 「朝鮮後期의 農業史硏究에 대하여」(『역사학보』 46, 역사학회, 1970)
오인택, 「숙종대 양전의 추이와 경자양안의 성격」(『역사와경계』 23, 부산경남사학회, 1992)
오인택, 「朝鮮後期 新田開墾의 성격」(『역사와세계』 18, 부산경남사학회, 1994)
이영훈, 「量案 上의 主 規定과 主名 記載方式의 推移」(『조선토지조사사업사의 연구』, 민음사, 1997)
주석
주1

전답의 품등(品等). 우리말샘

주2

「003」조세(租稅)를 부담함. 우리말샘

주3

당시의 소작인.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