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휘 ()

유교
인물
조선 전기에, 동지의금부사, 평안도관찰사,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회(重晦)
황강(黃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6년(중종 21)
사망 연도
1582년(선조 15)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동지의금부사|평안도관찰사|예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동지의금부사, 평안도관찰사,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회(重晦), 호는 황강(黃崗). 아버지는 지례현감(知禮縣監) 김호(金鎬)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로 공조정랑(工曹正郎) 이광원(李光元)의 딸이다. 장생(長生)은 그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경서와 사서 등을 폭넓게 읽었으며, 문장에도 뛰어났다. 1549년(명종 4) 식년문과에 을과로 주1 사가독서(賜暇讀書)에 뽑혔다. 그 뒤에도 벼슬은 올랐지만 오랫동안 사가독서를 하였다.

1557년 김홍도(金弘度)와 김여부(金汝孚)의 반목으로 옥사가 일어났을 때 김홍도의 당으로 몰려 주2 1562년 다시 전의 관직인 이조정랑으로 복직되었으나 아버지의 상중이어서 나가지 않았다.

삼년상을 마치고 다시 벼슬길에 올라 첨정 · 사간(司諫) · 집의(執義) · 응교(應敎) · 전한(典翰) · 직제학 등을 역임했고, 1566년 문과중시에서 장원을 차지해 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571년(선조 4) 이조참의 · 예조참의에 제수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황해도 · 전라도의 관찰사를 거쳐 공조참판 · 형조참판과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등을 역임하였다.

1575년 동서 분당 때 심의겸(沈義謙)과 함께 서인으로 지목된 적도 있으나, 당파에는 별로 깊이 간여하지 않고 오히려 당쟁 완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그 뒤 평안도관찰사로 있다가 1581년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한 주청사(奏請使)로 중국에 주3 이어서 예조참판에 올라 경연관(經筵官)이 되었다.

우리 나라의 산천 · 마을 · 도로 · 성지 등의 형세와 전술적인 문제점, 농작물의 생산 현황, 각 지방의 전통 · 연혁 · 씨족 원류 등을 두루 파악해 기록으로 남겼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조판서로 추증되었고, 나주 월정서원(月井書院)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선조실록(宣祖實錄)』
주석
주1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김계휘 탄핵 상소 : 『명종실록』 22권, 1557년(명종 12) 5월 21일. "양사가 청주 목사 김홍도와 좌랑 이귀수·김계휘의 파직을 청하다"

주3

주청사로 명나라행 : 『선조수정실록』 15권, 1581년(선조 14) 5월 1일. "김계휘를 변무 주청사로 삼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