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대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대한독립단 비서, 대한광정단 국법과장, 정의부 중앙행정위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이칭
백두산인(白頭山人)
이칭
이용대(李溶大), 이용대(李瀧大)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고종 20)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남도 풍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대한독립단 비서, 대한광정단 국법과장, 정의부 중앙행정위원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함경남도 풍산 출신. 이명은 이용대(李溶大, 李瀧大)·백두산인(白頭山人).

생애 및 활동사항

1920년 4월 만주 장백현(長白縣)에서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21년 10월 대한독립군비단이 흥업단(興業團) 등과 연합,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으로 조직되었다. 이 때 비서로 선임되어 회장 김호(金虎), 부회장 이은향(李殷鄕), 총무 윤덕보(尹德甫), 의사부장 윤세복(尹世復), 서무부장 석계(石桂), 군사부장 김찬(金燦), 경호부장 한창언(韓昌彦)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1922년 5월 대한광정단(大韓匡正團)이 조직되자 군법과장에 임명되어, 1923∼1924년간 무기를 구입하는 등의 일을 하였다. 1924년 10월부터는 광정단 남부민정서장(南部民政署長)으로 함경북도 대안 지역에서 군수품 구입 등에 힘을 쏟았다.

한편, 1924년 정의부(正義部)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정의부는 1924년 11월 지린[吉林]에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외 7개 단체가 통합되어 조직된 자치정부의 형태를 띤 무장단체였다. 헌장과 선언문을 발표하고, 조직에 착수, 자치·군사·교육·재정·생계의 5개 분과를 두고 분과위원을 선정하였다.

또 중앙행정위원을 선임하여 조직을 매듭지었는데, 오동진(吳東振)·현정경(玄正卿)·지청천(池靑天)·김이대(金履大)·윤덕보(尹德甫) 등과 중앙행정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정의부에서는 1925년 4월 제3회 중앙의회를 실시하여 포고령 제5호를 결의하였는데, 여기에서 헌장을 개정하고 중앙의원 11명을 증원하였다.

이 때도 이탁(李沰)·현정경(玄正卿)·지청천(池靑天)·이진산(李震山)·오동진(吳東振) 등과 함께 중앙행정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일제하독립운동사연구』(박영석, 일조각, 1984)
『독립운동사』 제5권(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경북경찰부, 1934)
『국외용의조선인명부(國外容疑朝鮮人名簿)』(총독부경무국, 1934)
『朝鮮運動民族年鑑』(在上海日本總領事館, 194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