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고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박응형의 남고문집 중 유주목 서문
박응형의 남고문집 중 유주목 서문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응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응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71년(고종 8) 그의 7대손 시원(時源)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고, 다시 1939년 경상북도 고령의 남고정(南皐亭)에서 후손 재희(在禧) 등에 의하여 재간되었다. 권두에 1870년 유주목(柳疇睦)이 쓴 서문과 권말에 1871년 6세손 경태(慶泰), 7세손 시원이 쓴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앞에 세계(世系)·연보가 실려 있고, 권1∼4에 시 520수, 권5에 사(辭) 1편, 서(書) 5편, 서(序) 1편, 제문 4편, 상량문 1편, 잡저 2편, 권6에 부록이 실려 있다.

시는 그 문체가 청순하다는 평이 있다. 서(書)는 「상유수암선생진서(上柳修巖先生袗書)」·「여정무첨재도응서(與鄭无忝齋道應書)」 등 5편이 실려 있는데, 스승인 유진과 친구인 정도응(鄭道應)에게 보낸 편지 등에는 당시의 시사(時事)·문후와 학문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잡저는 「이초막설(移草幕說)」·「전책(殿策)」 등 2편으로 「이초막설」은 초막을 세상 멀리 옮겨 혼탁함을 피한다는 글이고, 「전책」은 시무책(時務策)이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준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