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곡문집 ()

남곡집
남곡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상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상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26년(순조 26) 권상길의 현손 권조(權照)가 편집·간행하였다. 원래는 시문 1천여 편을 모아 『호화집(虎畫集)』이라 이름하였던 것인데, 후에 화재로 없어졌다. 증손 권창익(權昌益)이 겨우 일부의 시문만이 있던 것을 더 모으려다 이루지 못하고 죽자, 권조가 20년 간 수집해 『황명처사남곡선생문집(皇明處士南谷先生文集)』이라는 이름으로 간행한 것이다.

서지적 사항

6권 2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66수, 권2에 소 2편, 서(書) 7편, 잡저 4편, 잠 2편, 기 1편, 제문 4편, 묘지 1편, 권3에 습유(拾遺)로 만시(輓詩) 5편, 잡저 1편, 기 1편, 논 2편, 책 1편, 권4에 부록으로 행장 1편, 제문 2편, 만장(輓章) 1편, 뇌사(誄辭) 1편, 권5에 추부록(追附錄)으로 찬(贊) 1편, 묘지명 1편, 묘갈명 1편, 이증시사실(貤贈時事實) 1편, 상언(上言) 1편, 예조회계(禮曹回啓)·이조회계(吏曹回啓)·분황축문(焚黃祝文)·추제영(追題詠)·이증시제영(貤贈時題詠) 각 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6에 서문집후(書文集後) 5편과 행실기(行實記)가 추부(追附)되어 있다.

권2의 「산성척화소(山城斥和疏)」는 최명길(崔鳴吉) 등의 주화파를 통렬히 공박한 글이다. 권상길은 최명길이 왕에게 고하지 않고 조정에서도 의논하지 않은 채 청나라에 항복을 비는 서한을 보낸 것과 자신을 신(臣)이라 칭한 것은 마땅히 목을 베어야 할 사안이라고 주장하였다.

「답최상국명길서(答崔相國鳴吉書)」에서도 춘추대의(春秋大義)를 내세워 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 이는 「조삼학사문(吊三學士文)」과 함께 병자호란 당시의 국내외적 급박한 상황과 그에 대처해나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당시 영남의 사림을 대표해 견해를 밝힌 것이다.

잡저의 「알도봉서원독기묘록(謁道峯書院讀己卯錄)」은 도봉서원에 가서 『기묘록』을 읽고 조광조(趙光祖)가 소인들에게 해를 당한 데 대해 소감을 술회한 내용이다. 「남곡정사여이익문야화록(南谷精舍與李翼文夜話錄)」은 남곡정사에서 친구인 이익문과 학문을 토로한 내용이다.

「자책문(自責文)」은 자신이 젊어서 문학이나 과거에 골몰해 시간을 헛되이 보내고 뒤늦게 성리학의 깊은 뜻을 느끼고 전심하게 되었으나 많이 부족하다고 자책하며 분발하는 내용이다. 「독주자서절요서(讀朱子書節要序)」는 『주자서절요』를 5·6백 번 읽고 무한한 의리(義理)가 여기에 있다고 감탄하는 내용으로, 저자의 성리학의 깊이를 엿볼 수 있는 글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준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