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응 허여문기 ( )

목차
관련 정보
노응 허여문기
노응 허여문기
법제·행정
문헌
1464년 재주인 노응이 외손 김효로에게 노비 4명을 허여한 문서. 허여문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464년 재주인 노응이 외손 김효로에게 노비 4명을 허여한 문서. 허여문기.
내용

허여문기는 재산을 급여할 때 쓰는 문서로 직계존속에 의한 경우도 있으나 방계 및 인척에 의한 경우도 많다.

따라서 뒤에 분쟁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대개의 경우 관(官)의 입안(立案)을 받게 되는데, 이 문서 역시 입안을 받은 일괄문서이다.

점련(粘連)된 이 문서의 구성을 보면 ① 먼저 외조부 노응이 노비 4명을 김효로에게 허여한다는 내용의 허여문기가 있고, ② 김효로가 행지예안군사(行知禮安郡事)에게 입안을 신청하는 소지(所志)를 허여문기에 점련하여 올렸고, ③ 관에서는 입안을 발급하겠다는 처분인 뎨김[題音]을 소지에 내린 뒤, ③ 그 날 재주(財主)와 필집(筆執)·증보(證保)를 불러 사실여부를 묻고 그들의 진술서[條目]를 받아 확인한 뒤, ④ 입안을 발급하면서 일괄문서를 점련한 뒤 점련처와 수개처에 관인을 찍은 뒤 입안신청자에게 환부하였다.

이로써 노비허여의 관의 공증(公證)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 문서는 조선 초기의 입안제도를 살피는 데에 중요한 자료로 인정된다. 경상북도 안동의 김준식(金俊植)이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광산김씨오천고문서』(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한국고문서연구』(최승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