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공생조합 ()

근대사
단체
1931년에 설립되었던 협동 조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31년에 설립되었던 협동 조합.
설립목적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에서 협동 생활을 통한 농민 대중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것이다.

연원 및 변천

1926년 2월 14일 사제개정(社制改定)에 따라 설치되었던 조선농민사 알선부(斡旋部)의 사업을 보다 조직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1931년 4월 8일 전조선농민사와 분열된 뒤 처음으로 열린 제1회 중앙 이사회의 결의로 설립되었다.

그리하여 중앙에는 조선농민공생조합을 두고 지방에는 군농민사 산하에 조합을 설립해 1932년 6월에는 조합수 181개소, 조합원 3만 7,962명, 조합 자금 24만 5,571원에 이르렀다. 그 뒤 1933년 9월 조선농민공생조합을 조선농민공생조합중앙회로 개편하고 조합의 중앙 통제 기능을 강화하였으나, 일제의 이른바 농촌진흥운동으로 각처에 부락진흥회가 결성됨에 따라 쇠퇴하다가 1936년 4월 조선농민사가 해체될 때 함께 해체되었다.

기능과 역할

농민공생조합의 주요 사업은, ① 농촌 일용품을 구입해 배부 또는 판매하는 소비부 사업 ② 농업 창고 및 생산 공장을 경영해 생산물을 위탁 혹은 공동 판매하는 생산부 사업 ③ 조합원의 농자 융통(農資融通) 및 저금의 편의를 도모하는 신용부 사업

④ 중요한 농구 및 기타의 시설을 설치해 일반 조합원의 편의를 돕는 이용부 사업 ⑤ 의원·목욕장·이발소 등을 설치해 일반 조합원들의 편의를 돕는 위생부 사업 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에서도 소비부 사업이 가장 활발하였고, 또 생산부 사업으로 군농민사 산하의 농민 경작 운동이 괄목하였다. 그리고 공생 조합의 주요 활동으로는 평양공생조합의 ‘농’표 고무 공장 운영, 의주공생조합의 옥수수 공동판매장 운영, 정주공생조합의 현미공장 운영, 영원공생조합의 명주 공판장 운영, 순천공생조합의 밀·수수공판장 운영, 상원공생조합의 밤공판장 운영 등이 있었다.

의의와 평가

이와 같은 농민공생조합운동은 농민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는 데에도 일익을 담당하였지만, 일제의 식민지 수탈에 대항한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리고 농민운동에 있어 소작 쟁의와 같은 소작 농민의 운동과 구별되는 자작농 운동의 성격이 짙은 것이다.

참고문헌

『일제하한국농민운동사(日帝下韓國農民運動史)』(조동걸, 한길사, 1979)
『농민(農民)』(조선농민사, 1930)
「일제하(日帝下) 농민(農民)의 계(契)와 조합운동연구(組合運動硏究)」(노영택,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42, 1983)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의 단체성격(團體性格)에 관한 연구(硏究)」(지수걸, 『역사학보(歷史學報)』 106, 1985)
집필자
조동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