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석삭국 ()

목차
고대사
지명
삼한시대 마한 54소국 가운데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한시대 마한 54소국 가운데의 하나.
개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는 삼한의 여러 소국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는데, 나라 이름들의 한자 표기는 당시의 중국 상고음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한자음은 중국 고대음에 가깝기 때문에 삼한 소국의 위치를 비정하는 데 참고가 된다.

내용

‘대석삭국’은 그 앞에 열거된 마한 소국 이름에 소석삭국(小石索國)이 있어, 서로 관련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대’와 ‘소’는 ‘석삭국’에 붙인 형용사임을 알 수 있다.

‘석삭국’의 ‘석(石)’은 중국 고음이 ‘ziak’, 북경음이 ‘si’이다. ‘삭(索)’은 중국 고음이 ‘sak’, 북경음이 ‘so’이다. 이처럼 ‘석삭’의 중국 고대음은 우리 나라의 한자음에 가깝지만, 비정할 만한 지명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금의 경기도 지방에 있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남양도호부조(南陽都護府條)의 고적(古蹟) 항에 “부(府)의 서쪽 33리(里)에 석산성(石山城)이 있다.”라고 하였다. 이 석산성이 ‘석삭국’ 영역에 있던 산성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본기 개로왕(蓋鹵王) 18년(472)조에 백제가 북위(北魏)에 보낸 국서 가운데 “지난 경진년 후에 신(臣)의 서계(西界)의 소석산 북쪽 바다에서 시체 10여 구를 발견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 국서는 5세기 후엽의 것이기는 하지만, 백제의 서계에 ‘소석산(小石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백제는 지금의 서울과 경기도 광주에 도읍해 있었으므로, 서계라는 것은 앞에서 언급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남양 지방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백제 서계의 ‘소석산’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남양조의 석산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3세기경의 마한에는 소석산을 중심으로 소석삭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소석삭국을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에, 대석삭국을 여기와 이웃한 강화도에 비정하기도 한다. 마한연맹체의 일원으로 맹주국과 결속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도 토착적인 세력 기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개별적인 성장을 지속하다가 백제에 복속되었다. →마한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삼국지(三國志)』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이현혜, 일조각, 1984)
『한국사(韓國史)』-고대편(古代篇)-(이병도, 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59)
「마한제국(馬韓諸國)의 위치시론(位置試論)」(천관우, 『동양학(東洋學)』9, 1979)
『雜攷』(鮎貝房之進, 1938)
Analytic Dictionary of Chinese and Sino Japanese(Karlgren, K.B.J., 192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