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와문집 ()

목차
관련 정보
권득중의 동와문집 중 표지
권득중의 동와문집 중 표지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권득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득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5대손 주욱(周郁)에 의하여 편집, 1890년(고종 27)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과 권말에 주욱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62수, 서(書) 4편, 제문 6편, 행록(行錄) 3편, 잡저 1편, 권2는 부록으로 행장·행록·묘갈명·묘지명·전(傳) 각 1편, 만사 25수, 제문 3편, 유사후(遺事後) 1편, 정이조문(呈吏曹文)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체로 자연시가 많으며, 효우(孝友)와 인륜(人倫)을 떠난 불가(佛家)의 이론과 수행에 비판을 가하는 내용의 시도 실려 있다.

잡저의 「선조문탄공여사변무설(先祖文坦公麗史卞誣說)」에서는사관의 역사 기술법은 긴 세월동안 끊임없이 이어져 시비의 발단이 될 수 있다고 전제하고, 고려 말기의 권신(權臣)으로 알려진 그의 조상인 권한공(權漢功)은 당시의 제왕이나 신하들의 갈등으로 인하여 무고로 모함에 빠지게 하였으며, 『고려사』를 찬수할 때 날조되었음이 분명하다고 변론하였다. 그리고 충렬왕에서부터 4대에 걸친 당시의 약록(略錄)과 충숙왕과의 갈등관계를 기록하였으며, 중국의 하(夏)·상(商)·주(周) 때의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사건들을 권한공 당시의 사건과 비교하여 논평을 가하였다.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