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둔갑 설화 (쥐 )

목차
구비문학
작품
사람으로 둔갑하여 주인 행세하는 쥐를 물리친다는 내용의 설화.
이칭
이칭
진짜 주인과 가짜 주인, 진가쟁주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사람으로 둔갑하여 주인 행세하는 쥐를 물리친다는 내용의 설화.
내용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하며, ‘진짜 주인과 가짜 주인’, ‘진가쟁주(眞假爭主)’ 등으로도 불린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집주인이 함부로 버린 손톱·발톱을 오랫동안 주워 먹은 쥐가 주인으로 둔갑한다. 모든 가족이 가짜를 진짜로 여기게 되었으며 끝내는 원님의 판결로 진짜가 가짜로 몰려 쫓겨난다. 갖은 고생을 하며 떠돌아 다니다가, 원조자의 충고로 고양이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온다. 고양이가 가짜를 죽이자 쥐로 변했고, 진짜가 다시 주인이 되었다.

비슷한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인도에 전해 온다. 주인이 집에 있지 않고 집을 떠난 사이에 변신한 쥐가 주인 노릇을 하는 변이형도 있다. 원조자로 여자가 등장하기도 하며, 원조자가 없이 스스로 고양이를 가져갈 생각에 이르기도 한다.

쥐가 둔갑하여 어린 신랑이나 아들이 되는 변화도 있다. 또한 둔갑하는 원인이 의관을 함부로 방치했기 때문인 경우도 있으며, 며느리가 쥐에게 밥을 먹이는 것과 같은 타인의 실수로 설정되기도 한다.

이 설화는 머리카락이나 손톱, 발톱 등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기 때문에 소중히 해야 한다는 효에 대한 사상이 금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사람이 자신이 지닌 것에 대해 무관심하고 무분별하여 방심하는 사이에 허점이 드러나, 자기 상실에 이르게 되는 것을 경계하는 충고가 담겨 있다.

이 설화에 등장하는 가장 가까워야 할 사람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아내를 두고 ‘쥐 좆도 모른다.’는 속담이 유래하였다. 또한 고소설인 「옹고집전」은 이 설화와 인색한 주인이 동냥 온 중을 학대하는 이야기가 합쳐져서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속담의 근원설화』(강재철, 백록출판사, 1980)
『한국설화문학연구』(장덕순, 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오세길, 「옹고집전 근원설화의 변이 양상」(『국어국문학』 11,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설화와 그 소설화과정에 대한 구조적분석」(최래옥,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