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사성 선생 묘 ( )

목차
관련 정보
맹사성 선생 묘
맹사성 선생 묘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맹사성의 무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맹사성선생묘(孟思誠先生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기념물(1974년 09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기 광주시 직동 산27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조선전기 문신 맹사성의 무덤.
개설

세종 때의 재상 맹사성의 묘로 묘소 앞에는 묘비를 비롯한 상석, 향로석, 문인석, 동자상, 망주석 등이 갖추어져 있다. 주변에 그가 즐겨 탔던 소의 무덤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경기도 광주시 직동 맹씨 문중 소유의 산 중턱에 위치하며, 1974년 9월 26일에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은 호가 고불(古佛)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조부 맹유(孟裕)는 두문동(杜門洞) 72현 가운데에 한 명이다. 아버지 맹희도(孟希道)는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희도부상(希道負上)」에 실릴 만큼 효자였으며 끝내 조선에 출사하기를 거부했던 인물이다. 맹사성은 최영장군의 손녀사위로 풍수와 음악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이며, 세종대에 좌의정을 지낸 명재상으로 알려져 있다.

묘는 맹씨 문중의 산인 맹산(孟山)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봉분은 장대석(長臺石)을 이용한 장방형(長方形)의 호석(護石)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것은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봉분 조성 방법으로 조선 초기까지 계속된 양식이다.

봉분 앞에는 1438년(세종 20)에 건립된 조선 초기 양식의 화관석(花冠石) 묘비가 세워져 있다. 봉분과 묘역이 다소 협소한 감이 있으며 사성(莎城)은 묘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봉분 앞에는 묘비, 그 앞에는 근래에 새로 제작한 상석(床石)과 향로석(香爐石)이 있다.

봉분 우측에는 1959년 후손들이 새롭게 제작한 묘비가 있다. 묘역 앞의 좌우로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고, 1968년에 새로 제작한 망주석(望柱石)과 동자상(童子像)이 각각 1쌍씩 배치되어 있다. 한편 묘소 인근에는 흑기총(黑麒塚)이 있는데 이것은 맹사성이 즐겨 탔던 검은 소의 무덤으로 그가 죽자 따라 죽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문헌

『경기문화재대관』(경기도, 1990)
『광주군지』(광주군, 1990)
「태조~태종 연간 맹사성의 정치적 좌절과 극복」(이정주, 『조선시대사학보』 50, 2009)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