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호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명호문집
명호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언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언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목판본. 1909년 간행되었으며, 권말에 김도화(金道和)의 후서(後序)와 이찬화(李燦和)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상은 시 40수, 소 2편, 서(書) 5편, 기 1편, 발 2편, 명·잠·상량문·고문(告文) 각 1편, 권하는 부록으로 만사 11편, 행록(行錄)·가장·유사·행장·묘표·묘갈명·봉안문·축문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주역』을 읽은 뒤의 소감을 읊은 것과 다수의 자연시가 수록되어 있다. 명은 효·제·충·신(孝悌忠信) 넉자를 소재로 한 것이고, 잠은 자식들에게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의 규범을 요약하여 당부한 것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