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실 정려각 ( )

목차
관련 정보
무실 정려각
무실 정려각
가족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 있는 조선후기 유성의 처 의성 김씨의 정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비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무실정려각(務實旌閭閣)
분류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4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470-4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에 있는 조선후기 유성의 처 의성 김씨의 정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비각.
내용

1984년 경상북도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동. 무실은 수곡리를 지칭한다. 400여 년 전 전주유씨(全州柳氏) 수곡파(水谷派)의 파시조인 인의공(引儀公) 유선(柳善)의 아들 유성(柳城)이 터를 잡았다.

입향조 유성은 처음 낙향한 아버지와 영주에 살면서, 지금의 안동시 임하면 천전동(내앞)의 청계(淸溪)김진(金璡)의 사위가 되어 수곡에 입향하였다. 이 일대에 거주하는 전주유씨를 흔히 ‘무실유씨’라고도 한다.

무실정려각은 입향조 유성의 처 의성(義城)김씨의 정열(貞烈)을 기리기 위하여 조선 인조 13년(1635)에 세운 비각이다. 열부 김씨는 남편이 28세로 사망하자 함께 죽고자 하였다. 그러나 젖먹이 두 자식을 생각하여 자결을 중단하고 삭발한 뒤 조석으로 상식(上食)을 드리면서 냉방에서 침식하는 가운데 사계절 삼베옷(상복)을 입었다고 한다.

삭망(朔望)마다 10여리 떨어진 임당(林塘)에 찾아가 ‘버선’ 한 켤레씩 남편의 묘 앞에 묻으며 3년간 시묘(侍墓)로서 정열을 다하였다. 삼년상을 마친 뒤 바로 단식을 시작하여 자결하였는데, 나이 27세였다.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그의 열행(烈行)을 높이 평가한 임금께서 정려를 내려 비각을 세웠다. 비문은 ‘節婦故幼學柳城妻聞韶金氏之閣(절부고유학유성처문소김씨지각)’으로 새기고 각(閣)을 세워 열행을 추모하였다.

이 김씨에 대한 기록은 양파(陽坡) 유관현(柳觀鉉) 종가에 전하는 「가세영언(家世永言)」(楮紙 두루마리, 국문)에 당시의 상황을 자세히 적고 있다. 이 비각은 임하댐의 건설로 수몰지역에 들어가게 되어 1988년 안동시 임하면 수곡리 470-43번지로 옮겨졌다.

참고문헌

『임하댐수몰지구조사보고서』(안동대학교·경상북도,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