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상여장 ( )

목차
관련 정보
영양 상여장 김재환
영양 상여장 김재환
가족
개념
시신을 장지로 운구하는 도구인 상여를 제작하는 기능장.
목차
정의
시신을 장지로 운구하는 도구인 상여를 제작하는 기능장.
내용

1987년 5월 13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기능보유자였던 경상북도 영양군의 김재환(金載煥)의 사망으로 인해 전승이 끊겼으며, 2004년 2월 27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기능보유자였던 김재환은 24세경부터 50여 년이 넘도록 상여 제작에 종사하였으며, 상여와 영이(靈轜)·관(棺)·혼백상자 등 장례에 필요한 도구 일체를 제작했다. 그가 제작하는 상여는 대체로 서민용으로 비교적 화려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또, 구조상으로 보아 조립식이며, 재료는 목재로써 주로 유목·자장목·피목 등 잡목을 사용한다. 이들 목재는 오래 되어도 터지거나 틀어지는 성질이 덜하고, 조각에 연장발을 잘 받기 때문이다.

상여의 각종 장식은 정교한 조각품으로서 장식품마다 각각의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즉, 양반은 망인(亡人)을 상징하며 청노새를 타고 장군 또는 당상관(堂上官)의 의관을 갖추었다. 무사(武士)는 망인을 호위하는 시종(侍從)이다. 방상(方相)은 반드시 칼이나 창을 손에 드는데, 몰려오는 잡귀잡신을 쫓아내는 의미가 있다. 청룡·황룡·정자룡(丁字龍)·용두(龍頭)와 봉두(鳳頭)·황두(凰頭)·주작(朱雀)은 상서로운 동물들이며 등천왕생(登天往生)을 뜻한다.

윗난간 네 귀퉁이에 있는 봉두에 매단 쇠고리가 유소(流蘇)이며 그 끝에 풍경을 달았는데, 이러한 금속성(金屬聲)의 장식은 산속의 맹수를 쫓기 위함이다. 선녀·동자(童子)·청조(靑鳥)는 도교사상과 연관되며 길상(吉祥)을 나타낸다. 문양으로는 아자(亞字)·만자(卍字)·정자(正字)·불노초(不老草)·구름·당초문(唐草紋) 등을 그려 넣는다.

참고문헌

박종민,「한국상여의 변용과정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0)
성병희,「경상북도 문화재 지정 보고서: 영양 상여장」(경상북도, 1988)
정승모 외,『영원한 만남 한국의 상장례』(국립민속박물관, 1990)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