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사집 ()

목차
관련 정보
경선징의 묵사집산법 중 권수면
경선징의 묵사집산법 중 권수면
과학기술
문헌
조선후기 산학자 경선징이 산술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재. 산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산학자 경선징이 산술 교육을 위하여 편찬한 교재. 산술서.
내용

3권 3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와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의 목차는 상권은 포산선습문(布算先習門)·종횡인법문(縱橫因法門)·신외가법문(身外加法門)·유두승법문(留頭乘法門)·열위승법문(列位乘法門)·단위귀법(單位歸法)·신외감법(身外減法)·수신귀제문(隨身歸除門)·이승동제문(異乘同除門)·귀제승실문(歸除乘實門)으로 되어 있다.

중권은 취물추분(就物抽分)·화합차분문(和合差分門)·전묘형단문(田畝形段門)·창돈적률문(倉囤積栗門)·상공수축문(商功修築門)·퇴타개적문(堆垛開積門)·측량고원문(測量高遠門)·약분해제문(約分解齊門)·인잉구총문(引剩求總門)·가감승제문(加減乘除門)으로 되어 있고, 하권은 화답호환문(和答互換門)·호승화합문(互乘和合門)·차등균배문(差等均配門)·화취호해문(和取互該門)·개방해은문(開方解隱門)으로 되어 있다.

이 목차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산학계몽(算學啓蒙)』의 형태를 본받고 있다. 그러나 책머리에 있는 「구구합수(九九合數)」에서는 거꾸로 곱셈 구구(九九)가 구구팔십일(九九八十一)부터 시작되어 나눗셈 구구에까지 철저히 적용시키고 있는데, 이 보수성은 일본의 수학사가들을 감탄시킬 정도로 고식(古式)에 충실하다.

의의와 평가

저자 경선징은 당시 산학자로서는 제1급의 인물이었고, 『구수략(九數略)』에서는 그를 가장 저명한 사람으로 격찬하고 있다. 『산학계몽』보다는 좀 떨어지지만 1600년대의 우리나라 유일의 산학서로서 문화적 가치를 높이 평가할 만하다.

참고문헌

『구수략(九數略)』
『산학계몽(算學啓蒙)』
『주학입격안(籌學入格案)』
『한국수학사(韓國數學史)』(김용운·김용국, 열화당, 197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