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파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면진의 시 · 서(書) · 지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면진의 시 · 서(書) · 지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박면진의 아들 박희수(朴熙洙)가 권상규(權相圭)·김정모(金正模)·이회목(李會穆) 등과 함께 편집·교감한 것으로 전해진다.

서지적 사항

10권 5책. 필사본. 경상북도 예천의 박정로(朴庭魯)가 소장하고 있다.

내용

권1∼4에 시 840여수, 권5·6에 서(書) 50여 편, 권7·8에 잡저로 기(記) 2편, 발(跋)·서(敍) 각 1편, 지(識) 5편, 전(傳) 2편, 논(論) 8편, 애뇌사(哀誄詞) 3편, 제문 31편, 권9·10에 묘갈명·묘지명, 부록으로 만사·행기(行記)·묘갈명·통모록(痛慕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당시 영남의 대유학자인 김소락(金紹洛)·안창렬(安昌烈)·장화식(張華植)·황재진(黃在鎭)·이기호(李琦浩)·유동준(柳東濬)·김창수(金昌洙) 등 수백 명의 사문(斯文)들과 창화(唱和)한 것들이다. 저자의 시는 조용히 사색에 잠기거나, 또는 오랜 친구들과 소요하면서 읊은 것이다. 시취(詩趣)가 매우 담박하고 청절(淸絶)·창고(蒼古)하면서도 호매(豪邁)하다. 특히, 「취석정십이경운(醉石亭十二景韻)」 및 「입희방산중(入喜方山中)」 6수는 일대의 명사들과 산천을 유상(遊賞)하면서 읊은 것으로 진묘(眞妙)하다.

서(書)는 김소락·곽종석(郭鍾錫)·홍재겸(洪在謙)·이중업(李中業)·정교영(鄭敎永) 등과 주고받은 것이다. 잡저 가운데 「입진부수도적론(入秦府收圖籍論)」과 「양경초사론(洋驚楚使論)」·「사호론(四皓論)」은 저자의 독창적인 학문의 견해를 청려하고도 전아한 필체로 서술한 글들이다.

「신명사기(神明舍記)」는 수사(洙泗)의 아래 주돈이(周敦頤)의 광풍제월(光風霽月)의 기(基)와 주자(朱子)의 운곡(雲谷)에 있는 무이정사(武夷精舍)를 모방해 집을 짓고 쓴 기문(記文)이다. 여기서 그는 “신토(信土)에 터를 잡고 인목(仁木)으로 동량을 삼으며, 의(義)로 다듬고 지(智)로 금줄[金繩]을 놓고, 태극으로 입수(入水)를 삼고 언행으로 배산(背山)을 하고 사물(四勿)로써 추요(樞要)로 한다.”고 하였다. 문체가 굳세고 순정(醇正)하여 참된 의취가 내재되어 있다. 부록의 「통모록」은 아들 박희수가 쓴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