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효식 ()

민효식
민효식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황해도 지역에서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이칭
석촌(石村)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4년(철종 5)
사망 연도
1929년
본관
여흥(驪興)
출생지
황해도 벽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황해도 지역에서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개설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석촌(石村). 황해도 벽성(碧城) 출신. 진사 민영태(閔泳泰)의 장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7년 정미7조약에 이어 군대해산이 강행되자 민효식은 1907년 8월 황해도 연백과 평산 지역의 유학자 신재봉(申在鳳)을 비롯하여 신석(申襫)·신필수(申弼秀)·채홍두(蔡洪斗)·우병렬(禹炳烈)·변석현(邊錫鉉)·조도환(曺道煥) 등과 평산군 마산면의 도평산(挑坪山)에서 의병을 봉기, 전 목천군수 박기섭(朴箕燮)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신재봉 등이 체포되어 순국하자, 1908년 2월부터는 허덕천(許德天) 과 함께 독립부대(많을 때는 600여 명)를 이끌고 일본군과의 유격전을 감행하면서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주요 활동지는 재령·신천·장연·평산·은율·옹진·송화·해주 등 황해도 지역이었다.

상훈과 추모

1994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황해도지』(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 10(국사편찬위원회, 196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