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초당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반초당문집
반초당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명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명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15년 그의 8대손인 교춘(敎春)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과 권말에 권상익(權相翊)의 발문 및 8대손 교섭(敎燮)의 지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도산서원 등에 있다.

권1에 시 44수, 소(疏) 4편, 계(啓) 1편, 교서 1편, 서(書) 15편, 기(記) 1편, 축문 2편, 권2에 제문 3편, 묘갈명 3편, 유묵(遺墨) 3장, 그리고 부록으로 유사·묘갈명·시장(詩章)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일반적인 서경(敍景)을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그 가운데 「희견종제백흥서(喜見從弟百興書)」는 깊은 산골의 한 오두막에서 종제인 백흥의 편지를 보고 즐기던 중에 공자의 제자인 안연(顔淵)이 시골에서 안빈낙도하던 것을 상상하며 사모한 내용이다.

소는 거의 사직소로 「사대사간겸진시폐소(辭大司諫兼陳時弊疏)」는 대사간을 사임하며 시폐를 적은 것인데, 수령과 관찰사 등이 청백리는 적고 탐관오리들이 많아 백성들을 착취하므로, 감사나 수령을 단속하고 부세를 가볍게 하며 나라의 환란에 대비하여 곡식을 저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초당기(反招堂記)」는 저자가 벼슬에서 물러나 반초당을 지어 당호를 삼고 속세를 떠난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부록에 있는 장문의 유사는 7세손 성로(聖魯)가 썼으며, 저자의 묘갈명은 채제공(蔡濟恭)이 기록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