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울잔 (방울)

목차
관련 정보
토기영배
토기영배
선사문화
유물
선사시대, 그릇 안에 돌이나 흙으로 빚은 방울알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만든 토기.
이칭
이칭
영부배(鈴付杯)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선사시대, 그릇 안에 돌이나 흙으로 빚은 방울알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도록 만든 토기.
내용

‘영부배(鈴付杯)’라고도 한다.

형태는 손잡이가 없는 잔의 바닥에 투공(透孔)을 한겹 내지 두겹 돌린 반구형(半球形) 또는 모난 구슬 모양의 방울 몸체[鈴部]를 맞붙인 것이다.

방울 몸체에 비해서 잔은 목이 길고 크며, 긴 목은 아래가 좁고 위가 넓게 벌어져 있다. 방울 몸체에 원추형의 대각(臺脚)을 덧붙인 것도 있고, 잔의 몸체에 고사리 모양의 장식을 부착시킨 것도 있다.

방울 몸체에 뚫려 있는 투공은 소원형(小圓形)과 삼각형, 제형(梯形) 그리고 볼록렌즈형 등 여러가지가 있다. 방울잔의 전체 크기는 대체로 7∼20㎝ 정도이며 비교적 작은 편이다. 백제의 방울잔은 몸체에 아무런 장식이 없이 형태가 단순하고 소박한 점이 특징이다.

신라나 가야의 방울잔은 방울 몸체에 원추형의 대각이 부착되거나 잔의 양쪽에 고사리 무늬가 부착된 예가 많이 있다. 특히 가야 시대의 고분인 창녕 계성리 고분 1호의 주곽(主槨)에서 출토된 양이부유대영배(兩耳附有臺鈴杯)는 장방형의 투공이 뚫린 원추형 대각과 ‘S’모양의 고사리 무늬가 부착되어 있어 매우 화려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방울잔이 출토되고 있어서 양자간의 관련성이 주목되고 있다. 방울잔은 북방 유목 문화의 전통을 가진 유물로 보이며, 여러 가지 물형토기(物形土器)와 함께 의식용으로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백제토기도록(百濟土器圖錄)」(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백제유물도록(百濟遺物圖錄)』2,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