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야당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백야당문집
백야당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박광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박광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26년 5대손 제유(濟裕)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내희(宋來熙)의 서문, 권말에 김병운(金炳雲)·기우만(奇宇萬)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298수, 권3에 소(疏) 4편, 서(書) 8편, 권4에 서(序) 3편, 기(記) 3편, 발(跋) 3편, 잡저 7편, 제문 1편, 통문(通文) 3편, 부록으로 기·행장·묘표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학문·수양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이 많은데, 그 가운데 「논심성정(論心性情)」은 인간의 본심이 본래 착하나 수양하면 어질고 수양하지 않으면 어리석거나 간악하게 된다는 성리학적 인성론을 시로 표현한 것이다.

소 중 1709년(숙종 35)의 「배척예기유편소(排斥禮記類編疏)」는 당시의 대신 최석정(崔錫鼎)이 편찬한 『예기유편』을 사론(邪論)으로 비판, 공격한 글이다.

잡저 중 「회천문답(懷川問答)」은 형 광일(光一)과 함께 송시열(宋時烈)을 찾아가 문답한 내용을 기술한 것으로, 첫째 윤휴(尹鑴)로 인하여 유학이 혼란에 빠졌다는 것과 노론(老論)·소론(少論)의 당색에 관한 것, 둘째 병자호란 때 윤선거(尹宣擧)가 강화도에서 처신한 문제, 셋째 박태유(朴泰維)의 필체에 대한 논설 및 송시열과 윤증(尹拯)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왕형공론(王荊公論)」은 왕안석(王安石)의 백이론(伯夷論)을 인용하여 윤선거와 윤증 부자에 대해 비판을 가한 것이고, 「뇌정문답(雷霆問答)」 역시 당시의 당쟁에 관한 글로 참고자료가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