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고 ()

목차
관련 정보
법고 / 북 어르기
법고 / 북 어르기
민속·인류
개념
정초에 승려가 민가에 내려와서 북을 치며 염불을 하여 권선하던 세시풍속. 불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정초에 승려가 민가에 내려와서 북을 치며 염불을 하여 권선하던 세시풍속. 불교용어.
내용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승려가 돈이나 쌀 등 물건을 기부하는 시주(施主)에게 부처와 좋은 인연을 맺으라고 권고하는 내용의 글인 모연문(募緣文)을 펴놓고 북을 울리면서 염불을 하면 사람들은 다투어 돈을 던진다.”고 하였다.

또 승려들이 많은 떡을 만들어가지고 속가(俗家)에 와서 한개를 주고 속가의 떡 두개와 바꾸기도 하는데, 이 때 승려가 주는 떡을 ‘승병(僧餠)’이라 한다. 승병을 아이들에게 먹이면 마마를 곱게 한다고 믿었다.

또한, 여러 절의 상좌중이 재(齋)를 올릴 쌀을 오부(五部)내에서 빌기 위하여 새벽부터 바랑을 메고 돌아다니면서 문 앞에 와 소리를 지르면 민가에서 각기 쌀을 퍼주었다. 이는 새해의 복을 맞이한다는 뜻에서 행하는 풍속이다. 여기에서 오부는 조선시대 한성의 중부·동부·서부·남부·북부로서 곧 서울장안을 뜻하는 것이다.

승려들이 섣달 그믐날밤 자정이 지나면 민가의 문 밖에 와서 “재 올릴 쌀 주시오.” 하고 크게 소리를 지른다. 그러면 수세(守歲)하느라고 모여앉아 밤 깊어가는 줄 모르고 있던 사람들은 이 소리를 듣고 서로 돌아보며 “벌써 새해가 다 되었군.” 하며 새해를 실감한다.

그러나 이러한 법고 풍속이 1776년(정조 즉위년) 승려들의 도성 출입을 금하게 된 뒤부터는 성 밖에서만 행하여졌다. 법고는 단순한 불교적 행사라기보다는 제액초복을 위한 세시풍속의 하나로 파악된다.

참고문헌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