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당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군부대.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군부대.
내용

법당(法幢)은 6세기 초에 창설되어 7세기 중엽 군제(軍制)가 크게 재편성될 때까지 유력한 군단으로 활약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직관지(職官志) 무관(武官) 기사에는 법당의 명칭이 그 자체 군호(軍號)로서 기록되어 있지 않아 상세한 것은 알 수 없다. 다만 군관에 대한 기사 중에는 ‘법당’의 문자를 띠고 있는 군관의 명칭과 정원 및 소속부대가 규정되어 있다.

법당은 삼십구여갑당(三十九餘甲幢)과 사설당(四設幢) 등 각각의 예하부대와 기타 부대를 거느리고 있었다. 법당은 지방의 촌락 사회를 기초로 하여 호족(豪族)이나 촌주(村主)들이 편성, 장악한 부대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6세기 전반 경에 신라 전역에 걸쳐 50여 곳의 특정한 군사적 거점에 배치한 기본적 군단으로서, 신라의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이르러 쇠퇴해간 것이라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중고신라의 군사적기반」(武田幸男, 『민족문화논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1)
『新羅兵制考』(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집필자
이기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