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지산 ()

목차
고대사
유적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로 비정(比定)되는 지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로 비정(比定)되는 지명.
내용

《일본서기》에 의하면, 369년에 백제의 근초고왕이 왜(倭)의 사신 천웅장언(千熊長彦)과 더불어 이곳에서 서로 맹약하고, 다시 고사산(古沙山)의 반석 위에서 맹서했다고 한다.

벽지산은 《삼국지》 위서 동이전(東夷傳)에 보이는 마한의 한 국가인 벽비리국(辟卑離國), 《남제서 南齊書》 백제전에 보이는 벽중(辟中), 《삼국사기》에 보이는 벽성(辟城) · 벽골(碧骨)과 같은 지명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현재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로 비정(比定)되고 있다.

《일본서기》에서는 이곳에서 맹약하게 된 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즉, 369년에 왜국의 왕 신공이 장수인 황전별(荒田別) · 녹아별(鹿我別)을 백제 사신과 함께 한반도로 보내어 탁순(卓淳)에 이르러 신라를 치게 했는데, 병력이 부족하므로 사신을 본국에 보내어 증원군을 요청하였다.

이에 목라근자(木羅斤資) · 사사노궤(沙沙奴跪) 등이 왜군을 끌고 와서 탁순에 집결, 신라를 치고 다시 가야 7국을 평정한 다음, 군대를 서쪽으로 돌려서 고해진(古奚津)에 이르러 침미다례(忱彌多禮)를 백제에 주니, 백제왕 초고(肖古 : 근초고왕)와 왕자 귀수(貴須 : 近仇首)가 군대를 끌고 와서 왜군과 회견하게 된 것이라고 하였다.

이 신공의 삼한(三韓) 정벌은 이른바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의 주요한 근거가 되어 있다. 그러나 역사적인 사실로 믿을 수 없는 허구적인 기사이며, 아마도 근초고왕의 마한 정복을 그 주체가 마치 왜국인 양 바꿔치기한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가 이 때 마한의 전영역을 정복해 세력이 남해안에까지 미치게 되자, 왜국과도 국교를 맺어 사신의 내왕이 있었던 듯하다. 이것을 왜가 마한지역을 정복해 백제에게 준 것처럼 끌어마춘 것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일본서기(日本書紀)』
『任那興亡史』(末松保和, 1949)
「근초고왕척경고」(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부원 가야사 중」(천관우, 『문학과 지성』 29,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