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악장 「처용가(處容歌)」의 선율을 그대로 사용하는 가운데 가사만 7언 한시체로 바꾸어 제작한 작품으로서 나라와 왕가(王家)에 대한 송축가이다.
가사가 『세종실록(世宗實錄)』 권146에 악보와 함께 실려 있고, 『악학궤범(樂學軌範)』에도 실려 있다. 음악상으로는 1·2·3의 세 변주곡(變奏曲)이 있다.
『악학궤범』 권5의 기록에 의하면, 봉황음 만기 · 중기 · 급기 세 곡의 형식을 전강(前腔) · 후강(後腔) · 대엽(大葉)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전강 · 후강 · 대엽의 각 부분은 다시 부엽(附葉) · 중엽(中葉) · 부엽 · 소엽(小葉)으로 각각 세분되었다.
전강은 3개의 큰 악절로 이루어졌고, 후강은 전강의 제2악절을 반복한 것이며, 대엽은 3악절로 구성되었다. 전강 · 후강 · 대엽은 8박(중강) 또는 12박(전강 · 대엽)으로 되었지만, 중엽은 4박으로 이루어졌다. 소엽은 3박으로 되었으며, 부엽은 2박으로 이루어졌다.
『세종실록』에 있는 봉황음 1·2·3은 『악학궤범』에서 만기 · 중기 · 급기로 각각 표시되었기 때문에 그 숫자는 음악의 느리고 빠름을 나타내는 속도를 가리켰다. 따라서 봉황음 1은 세 곡 중에서 가장 느린 악곡이었으며, 봉황음 2는 보통 빠르기의 악곡이었다. 봉황음 3은 가장 빠른 악곡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또 『세종실록』권146의 「만전춘(滿殿春)」의 가사는 「봉황음」인데 그것은 국어로 된 「만전춘」의 가사를 「봉황음」으로 바꾸되 곡은 「만전춘」의 곡을 취한 것이다. 그런데 「만전춘」의 가사를 「봉황음」으로 바꾼 뒤에도 국어로 된 「만전춘」의 가사는 그대로 남아 있었으므로 「만전춘」은 하나의 곡명으로 볼 수 있다.
노래 이름을 ‘봉황음’이라고 한 것은 봉황은 중국 요순(堯舜) 때부터 성왕(聖王)이 나올 때마다 나타난다 하여 성세(聖世)의 상서(祥瑞)로 여겼으므로 태조의 건국을 성왕이 나타남에 비겨 붙인 이름이다.
형식은 한시 오언구나 칠언구에 토를 달아가며 절의 분단이 없이 이어나간 것으로 모두 31구로 되어 있다. 가사의 내용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1구 “산하천리국에 가기울총총ᄒᆞ샷다(山河千里國 佳氣鬱葱葱)”가 첫 번째이고, 2구 “금전구중에 명일월ᄒᆞ시니, 군신 천재예 회운룡이샷다(金殿九重明日月 群臣千載會雲龍)”가 두 번째이다. 마지막으로 3구 “희희 서속ᄋᆞᆫ 춘대상이어ᄂᆞᆯ 제제 군생ᄋᆞᆫ 수역중이샷다(熙熙庶俗春臺上 濟濟群生壽域中)”로 마무리된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라에 복되고 길한 기운이 가득하여 왕실이 빛나고, 신하가 성왕을 따라 모여들며, 백성이 편안하여 요순시대와 같은 성세를 맞았다. 예악(禮樂)이 중국과 같이 갖추어지고 뛰어난 왕자가 나와 국가 만년의 기틀이 이루어졌다.
나라의 형세가 이와 같으니 전에 없던 경사로 모두가 성수만세(聖壽萬世)를 외친다. 도읍을 정하여 궁궐을 이룩하고 천자가 이를 허락하니 경사가 겹쳐 온 나라에 웃음이 가득하다. 이에 성자(聖子) 성손(聖孫)이 억만세를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을 노래로 표현한 것이다.
이 악장은 속악가사로 사신을 위로하는 잔치나 행주(行酒) 때, 또는 섣달그믐 전날 밤에 행하던 나례(儺禮)에서 「처용가」와 더불어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