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례랑 ()

목차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대각간을 역임한 화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대각간을 역임한 화랑.
내용

아버지는 사찬(沙飡) 대현(大玄)이다. 692년(효소왕 1) 9월 화랑이 되었고, 그 무리는 1,000여명이 되었다 한다.

그는 이듬해 3월 무리를 이끌고 금란(金蘭 : 지금의 강원도 通川)으로 놀이〔遊〕를 나가서 다시 북명(北溟 : 지금의 元山灣 부근) 방면에 이르렀다가 낭도(郎徒)인 안상(安常)과 함께 적인(狄人)에게 붙잡혀 행방불명이 되었다.

조정에서는 이 소식에 접하자 궁궐 안 창고에 보관중인 왕실의 신기한 보물인 만파식적(萬波息笛)의 신통력에 의지하려 하였으나 마침 이를 도난당하여 해결할 방법이 없었다.

그 해 5월 부례랑의 양친이 백률사(柏栗寺) 대비상(大悲像) 앞에 나아가 여러 날 기도를 드렸던바, 부례랑은 해룡(海龍)으로 화하여 나타난 신적(神笛 : 萬波息笛)을 타고 바다를 건너 안상과 함께 무사히 귀환하였다고 한다.

부례랑은 신적을 가지고 궐내에 들어가 국왕으로부터 큰 상을 받았을 뿐 아니라 대각간(大角干)에 임명되고 그의 아버지는 태대각간(太大角干)에, 어머니 용보부인(龍寶夫人)은 사량부(沙梁部)경정궁주(鏡井宮主)에 임명되었다 한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이러한 전승은 어디까지나 설화적인 것이다. 다만 이를 통하여 당시 성행하던 불교의 관음신앙(觀音信仰)과 신라의 평화를 상징하는 만파식적에 관한 관념 및 화랑도의 유행(遊行)을 통한 수행의 모습 등에 관한 일면을 이해할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신라의 사상과 문화』(김상현, 일지사)
『新羅花郞の硏究』(三品彰英, 三省堂, 194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