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새곡 ()

고전시가
문헌
조선후기 문신 구강의 가사 「황계별곡」 · 「희주가」 · 「북새곡」 등 13편을 수록한 가사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구강의 가사 「황계별곡」 · 「희주가」 · 「북새곡」 등 13편을 수록한 가사집.
개설

단권(107장). 필사본. 책의 제목이 ‘북새곡’인 것은 이 책의 맨 앞에 가사 작품 「북새곡」이 실려 있을 뿐 아니라, 분량이 50장이나 되어 이 가집을 대표하기 때문이다.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북새곡」의 앞부분의 2장 정도가 부분적으로 훼손되어 있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작품을 연대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황계별곡(黃溪別曲)」(18세)·「희주가(喜酒歌)」(22세)·「동호별곡(東湖別曲)」(24세)·「제석탄(除夕嘆)」(36세)·「등등가(燈燈歌)」(38세, 한시.)·「아기탄」(45세 작)·「북새곡(北塞曲)」(57세)·「교주별곡(交州別曲)」(64세)·「금강곡(金剛曲)」(64세)·「총석가(叢石歌)」(64세)·「진회곡(陳懷曲)」(64세)·「사미인곡(思美人曲)」(68세)·「격적가(闃寂歌)」(72세)·「기수가(耆叟歌)」(75세) 등 가사 13편과 1편의 음역한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이 작품들은 대체로 작자가 스스로의 귀중한 체험을 잊지 않기 위해 지은 듯한 친근성과 신변 잡기성이 있으며 문학성도 높다. 이 가사집은 작자의 초취 부인인 청송심씨(靑松沈氏)작이라는 서봉식(徐奉植)의 설과 함께 처음 학계에 소개되었다. 뒤에 강전섭(姜銓爕)과 박요순(朴堯順)의 고증에 의해 구강의 작임이 증명되었다.

참고문헌

『기행가사선집』 1(최강현, 국학자료원, 1996)
『한국고전문학신자료연구(韓國古典文學新資料硏究)』(박요순, 한남대학교출판부, 1992)
「가사작가 휴휴(休休) 구강(具康)을 살핌」(최강현, 『모산학보』 4·5합집, 모산학술연구소, 1993.)
「휴휴(休休) 구강(具康)의 기행가사 북새곡(北塞曲)을 살핌」(최강현, 『근재양순필박사화갑기념문학논총』, 학문사, 1993)
「휴휴(休休) 구강(具康)의 금강산 기행가사를 살핌」(최강현, 『새국어교육』 48·49합호, 한국국어교육학회, 1993)
「남호(南湖) 구강(具康)의 북새곡(北塞曲)에 대하여」(강전섭, 『한국학보』 69, 일지사, 1992)
「북새곡해제(北塞曲解題)」(서봉식, 『향토연구』 10, 충남향토연구회,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