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도제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국가에서 도로의 신에게 지낸 제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국가에서 도로의 신에게 지낸 제사.
내용

사방에서 신라 왕도(王都)로 통하는 도로의 신들에 대한 제사이다. 제의의 장소는 동쪽이 고리(古里), 남쪽이 첨병수(詹幷樹), 서쪽이 저수(渚樹), 북쪽이 활병기(活倂岐)이나 그 구체적인 위치는 미상이다.

국가에서 도로의 신을 제사하는 것은 고대 중국과 일본에도 있었으며 국행제(國行祭)와 도향제(道饗祭)가 그것인데, 신라의 사대도제는 제의의 장소 가운데 두 곳이 나무[樹]라는 점 등에서 이들과 차이가 보이는 반면, 부락으로 들어오는 길가에 신수(神樹)와 누석단(累石壇)의 복합형태로 존재하는 민속상의 서낭당을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대도제의 기원은 신라의 전통적인 도로신 제사에서 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통적인 도로신 제사는 신라사회의 발전과 중국 사전(祀典)의 영향으로 신라의 국가제사가 정비되어가는 과정에서 신라의 사전에 편입되어 사대도제로 정착한 것이라 생각된다.

제사의 시기·방법 등도 미상이지만, 제의의 목적은 도로의 신을 제사함으로써 사방에서 왕도로 침입해오는 악령 등을 막기 위한 것이라 생각되며, 일본의 도향제의 경우로 미루어 침입해오는 악령을 미리 중간에서 향응하여 돌려보내기 위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신라의 제전」(김동욱,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4-신라민속의 신연구-, 1983)
「삼국사기 제사지연구」(신종원, 『사학연구』 38, 1984)
『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최광식, 한길사,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