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등 ()

목차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신라의 지방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의 지방관직.
내용

본래 대등(大等)은 신하의 뜻으로 상대등(上大等, 일명 上臣)·사대등(仕大等, 일명 仕臣)으로 분화되었는데, 사대등 또한 이와 마찬가지일 것으로 짐작된다. 사대등은 ≪삼국사기≫에는 보이지 않고 창녕진흥왕순수비 중 상주행(上州行)사대등·하주행(下州行)사대등·우추(于抽)사대등·실직(悉直)사대등·하서아군(河西阿郡)사대등의 명칭이 보일 뿐이다.

사대등의 임무는 삼국통일 이전에 민정지역(民政地域)에 파견된 지방장관, 혹은 주(州)의 장관인 군주(軍州)의 보좌관, 혹은 도사(道使)·당주(幢主) 등 지방관 칭호일 것으로 보는 등 학자에 따라 견해가 조금씩 다르다.

참고문헌

「대등고」(이기백, 『역사학보』 17·18합집, 1962)
「신라중고의 지방통치조직에 대하여」(주보돈, 『한국사연구』 23, 1979)
「新羅九州五京攷」(藤田亮策, 『朝鮮學報』 5, 1953 ; 『朝鮮學論考』, 1963)
「新羅幢停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新羅郡縣制の確立過程と村主制」(木村誠, 『朝鮮史硏究會論文集』 13, 1976)
「新羅の城·村設置と州郡制の施行」(濱田耕策, 『朝鮮學報』 84,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