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반주 ()

목차
고대사
제도
백제가 멸망한 뒤 설치된 행정구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백제가 멸망한 뒤 설치된 행정구역.
내용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에 예속된 7주의 하나이다.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 · 영광 · 함평일대로 짐작된다.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660년에 백제를 멸망시킨 뒤 당은 신라가 백제 땅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의자왕의 태자 부여 융(扶餘隆)을 웅진도독에 임명하여 고국으로 돌아오게 하고, 665년 8월에는 신라의 문무왕과 더불어 웅진의 취리산(就利山)에서 화친동맹을 맺게 하여 신라와 웅진도독부간의 강계(疆界)를 확정하게 하였다.

그 결과 부여 융의 백제 영토는 도독부 직할의 13현과 7주인데, 그 중 한 주가 사반주였다. 주의 치소(治所)는 호시이성(号尸伊城)인데, 이는 영광지방으로 짐작되고 있다. 또한 그 예하에는 무지현(牟支縣) · 무할현(無割縣) · 좌로현(佐魯縣) · 다지현(多支縣) 등 네 현이 있었다.

그 중 무지현은 본래 호시이촌으로 현재의 영광에, 무할현은 본래 모량부리(毛良夫里)로 현재의 고창에, 좌로현은 본래 상로(上老)로 현재의 고창군 무장면(茂長面)에, 그리고 다지현은 본래 부지(夫只)로 현재의 함평군 나산(羅山)에 각각 비정(比定)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반주는 현재의 영광지방을 치소로 하여 고창군의 대부분과 함평지방의 일부를 다스린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동국문헌비고』
「마한제국의 위치 시론」(천관우, 『동양학』 9, 1979)
「百濟滅亡後の動亂及び唐·羅·日三國の關係」(池內宏, 『滿鮮史硏究』 上世 2, 1960)
「百濟の故地に置かれた唐の州縣について」(末松保和, 『靑丘史叢』 19, 193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