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복은 삼국 시대 신라 십성의 한 명이다. 12세까지 말을 하지 못하고 일어나지 못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전생에 인연이 있던 원효와 함께 장례를 지내고 연화장 세계로 들어갔다. 이후 신라 흥륜사에 10명의 성인 중 한 명으로 모셔졌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사복의 전기는 서민적 신라 불교의 특색을 보여 주고 있으며 아울러 신라 불국토 사상의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
사복(蛇福)의 생애는 『삼국유사(三國遺事)』 의해(義解)에 수록되어 있다. 사복은 경주 만선북리(萬善北里)에서 과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열두 살이 되어도 말을 못 하고 일어나지도 못하여 이름을 사동(蛇童)이라 하였다. 사동은 사복(蛇卜), 사파(蛇巴), 사복(蛇伏) 등으로도 불리는데 모두 사동을 의미한다.
사복은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고선사(高仙寺)에 있는 원효(元曉)를 찾아가서 “그대와 내가 옛날 경(經)을 싣고 다니던 암소가 지금 죽었으니 같이 가서 장사(將事)를 지내자.”라고 청하였고, 원효와 함께 집으로 돌아와 포살(布薩)을 하고 수계(授戒)하였다. 그리고 원효가 사복의 어머니 시체 앞에서 “나지를 말아라, 죽는 것이 괴롭다. 죽지를 말아라, 나는 것이 괴롭다[莫生兮其死也苦, 莫死兮其生也苦].”라고 하였다. 이를 들은 사복이 그 말이 너무 길다고 하자 원효는 다시 “죽고 사는 것이 모두 괴롭구나.”라고 축원(祝願)하였다. 두 사람은 상여를 메고 활리산(活里山) 기슭으로 가서 장사를 지냈다. 그리고 사복이 게(偈)를 지어 “옛날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사라수 사이에서 열반하셨네. 지금 또한 그와 같은 이가 있어 연화장계관(蓮花藏界寬)에 들어가려 한다[往昔釋迦牟尼佛, 婆羅樹間入涅槃, 于今亦有如彼者, 欲入蓮花藏界寬].”라고 하면서 띠풀을 뽑고는 시체를 업고 그 속으로 들어가자 땅이 다시 합쳐져 닫혔고, 원효만이 돌아왔다.
뒷날 사람들이 그를 위하여 금강산 동쪽 기슭에 도량사(道場寺)라는 절을 세우고, 해마다 3월 14일에 점찰회(占察會)를 열었다. 『삼국유사』 흥법(興法)에 따르면 흥륜사(興輪寺) 금당(金堂)에 모신 10명의 성인에 사파(蛇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사파를 사복과 동일 인물로 파악하기도 한다. 한편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시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는 부안의 원효방(元曉房)에서 사포(蛇包)가 차를 달여 원효에게 주었다는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사복의 전기는 신라 불교의 서민적인 특색을 보여 주고 있으며 아울러 신라 불국토사상의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 사복이 세상에 드러난 것은 다만 이것뿐인데, 민간에 떠도는 설화는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중 하나가 『삼국유사』 권4 사복불언(蛇福不言)의 내용인데 불교적 영이설화(靈異說話)로, 전체적으로 불교성자(佛敎聖者)의 영이담(靈異譚)이며, 남편 없는 잉태와 출산, 열두 살까지 말을 하지 않고 일어나지도 않았다는 형상, 전세 인연, 장례, 시체를 지고 땅속으로 들어가는 등 다양한 설화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사복이 뽑은 띠풀의 자리는 현세와 타계(他界)를 연결하는 통로가 되는 지점, 곧 우주 중심의 자리로, 띠풀은 이른바 ‘우주의 나무(cosmic tree)’에 대한 변형이라고 해석한다. 사복이 어머니의 시신과 함께 연화장세계로 들어갔다는 측면에서 『화엄경』 사상을 배경으로 설화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