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관직.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관직.
내용

내성(內省)의 장관직으로 622년(진평왕 44)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585년(진평왕 7)에 대궁(大宮)·양궁(梁宮)·사량궁(沙梁宮)의 관청이 설치되었을 때 이미 장관직으로 설치된 일이 있었다. 759년(경덕왕 18)에 내성을 전중성(殿中省)으로 고쳤을 때 사신도 전중령(殿中令)으로 개칭되었으나, 776년(혜공왕 12)에 다시 본래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정원은 1인이며, 금하(衿荷) 이상 태대각간(太大角干)의 관등을 가진 사람으로써 임명하였다. 다만, 적당한 후보자가 있을 때만 임명하였고, 연한도 없었다고 한다. 신라통일기에 들어와서는 그 권한이 크게 확대, 강화되어 상대등(上大等)·병부령(兵部令) 등과 더불어 권력의 핵심적인 관직으로 부각되었으며, 재상(宰相)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新羅內廷官制考 上」(三池賢一, 『朝鮮學報』 61, 1971)
「新羅の宰相制度」(木村誠, 『東京都立大學人文學報』 118, 1977)
집필자
이기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