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위의 세 시체 설화 ( 위의 세 )

목차
구비문학
작품
세 명의 도둑이 산에 모여 훔친 물건을 나누다 이를 많이 차지하려고 자기들끼리 서로 죽여, 결국 산 위에는 시체 3구, 돈과 술병만 남게 되었다는 설화.
이칭
이칭
산상삼시여전설화(山上三屍與錢說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세 명의 도둑이 산에 모여 훔친 물건을 나누다 이를 많이 차지하려고 자기들끼리 서로 죽여, 결국 산 위에는 시체 3구, 돈과 술병만 남게 되었다는 설화.
내용

일반담에 속하며, 산상삼시여전설화(山上三屍與錢說話)라고도 한다. 송나라 사람인 장지보(張知甫)의 『장씨가서(張氏可書)』에 수록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어느 고을에서 도둑 세 명이 부잣집을 턴 다음, 도둑질한 돈을 나누려고 인적이 없는 산을 찾아갔다. 한 도둑이 돈을 벌었으니 축하 술을 마시자고 제안하여, 한 명은 술을 사오기로 하고, 둘은 그 사이에 돈을 나누어 놓기로 하였다.

산 위에 남아 있던 두 명은 술을 사러 간 사람의 몫까지 차지하려는 욕심이 생겨, 술 사러 갔던 사람이 돌아오자 그를 몽둥이로 때려 죽여버렸다.

그러나 차지할 몫이 늘었다고 기뻐하던 두 사람도 술을 마시자마자 곧 죽어버렸다. 술을 사러 간 사람이 둘을 죽이고 돈을 독차지할 속셈으로 술에 미리 독을 넣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결국 산 위에는 3구의 시체와 돈과 술병만이 남아 있게 되었다.

이 설화에는 세 도둑 대신 서낭신을 잘 섬기는 세 거지를 등장시켜 신이나 사람이 그 거지들을 동정하여 돈을 주는 것으로 설정한 변이형도 있다. 그러나 산 위에 3구의 시체와 돈과 술병이 남는다는 점은 동일하다.

한편, 위에 소개한 것과 같이 사건의 발생 순서에 따라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 외에 "산 위에 세 시체와 술병, 많은 돈이 있는데, 이것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처럼 결과를 문제로 제시한 뒤 사건을 거슬러 추적해 나가는 구성 방식을 채용한 경우도 있다. 또한, 지혜로운 원님이나 아이가 이러한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식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설화는 욕심은 다시 새로운 욕심을 낳아 결국에는 파국에 이르고 만다는 교훈을 흥미로운 구성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해조(李海朝)의 1909년작인 「원앙도(鴛鴦圖)」에 이 설화가 삽화로 채용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최래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1)
『한국전래동화집』3(이원수·손동인 엮음, 창작과 비평사, 1980)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4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