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가 기양루 ( )

목차
관련 정보
삼가 기양루
삼가 기양루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에 있는 조선시대 삼가현 관아의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이칭
이칭
기양루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합천 삼가 기양루(陜川 三嘉 岐陽樓)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2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합천군 삼가면 삼가1로 57 (금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에 있는 조선시대 삼가현 관아의 누정. 누각 · 조경건축물.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합천군내에서는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옛날 고을 원님들의 연회장으로 쓰였던 건물로서, 일명 ‘도계문루’라고도 불렸다고 한다.

기양루 동편에 동헌터[東軒址]가 남아 있고 문루라고도 불렸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 삼가현(三嘉縣) 관아의 문루였던 것으로 보인다. 익공계(翼工系)양식으로 층루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으나 거의 파손되어 심하게 퇴락되었다.

참고문헌

『문화재안내문안집·부산·경남편·』(문화재관리국, 199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