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로 ()

목차
고대사
제도
옥저와 동예지역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들의 칭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옥저와 동예지역 읍락(邑落)의 우두머리들의 칭호.
내용

옥저에서는 읍락의 거수(渠帥)들이 삼로를 자칭하였으며, 동예에서는 후(侯)·읍군(邑君)과 더불어 하호(下戶)를 통솔하는 읍락의 우두머리였다.

삼로는 원래 중국 진한시대(秦漢時代)의 향관(鄕官)으로 진은 향에 삼로를 두었으며, 한은 향 이외에 군과 현에도 삼로를 두었는데, 향민 중에서 유력자를 이에 선임하여 지방사회의 교화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삼로는 왕굉(王閎)이라는 인물이 서기 30년(後漢 光武帝 建武 6)경 낙랑군의 군삼로(郡三老)로 있었던 사실로 미루어, 한사군 지역에도 두어졌던 것 같다.

따라서, 옥저·동예 읍락의 우두머리들을 삼로라고 칭한 것은 이들 지역이 30년까지 한의 군현으로 편입되어 있었던 만큼, 한군현시대의 유풍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中國地方行政制度史 上編 卷上』(嚴耕望, 1974)
「漢代の三老について」(櫻井芳朗, 『加藤博士還曆記念東洋史集說』, 194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