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반예식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에,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대군과 왕자, 그리고 관원들 간의 의식 법도에 서술하여 1866년 간행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대군과 왕자, 그리고 관원들 간의 의식 법도에 서술하여 1866년 간행한 예서.
내용

상·하권 1책. 목판본. 1866년(고종 3)에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건국대학교 도서관·부산대학교 도서관·보성고등학교에 있다.

상권에는 대군·왕자들과 정1품으로부터 종9품까지의 내직 문관들이 지켜야 할 의식법도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음보(蔭補)의 문관 및 무관들이 지켜야 할 의식법도, 모든 관원들의 좌석(座席)에 있어서의 의식절차, 말을 탈 수 있는 곳과 내려야 할 곳에 관한 조례(條例), 사람을 만났을 때의 인사절차, 전형과 벌칙에 관한 조항 등이 실려 있다.

하권에는 외직 관원이 지켜야 할 의식법도에 관한 조항, 관원이 공무로 행차할 때의 의식절차에 관한 조항 등이 있다. 그리고 1868년에 간행된 중간본에는 권말에 봉명사신(奉命使臣) 등이 행차할 때의 의식절차에 관한 조항이 첨부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