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파정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석파정 전경
서울 석파정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흥선대원군 이하응 관련 누정.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석파정(石坡亭)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1월 15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부암동 산16-1, 20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후기에 건립된 흥선대원군 이하응 관련 누정.
내용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별서(別墅)로서 안태각(安泰閣) · 낙안당(樂安堂) · 망원정(望遠亭) · 유수성중관풍루(流水聲中觀風樓) 등 8채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뜰에는 해묵은 노송(老松)들이 차일처럼 그늘을 드리우고 있으며, 서쪽 바위산에서 흘러내린 계류(溪流) 한가운데에는 평대(平臺)를 쌓고 그 위에 서양식 건축기법이 더해진 유수성중관풍루를 세웠다. 4모지붕이나 기와를 씌우지 않은 색다른 지붕을 하고 있다.

사랑채인 석파정 별당은 1958년 종로구 홍지동으로 옮겨져 따로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는데, 원래의 터 뒤쪽 바위에는 ‘三溪洞(삼계동)’이라는 글자를 새겨놓아서 원주인인 영의정 김흥근(金興根)이 살 당시에는 삼계동정사(三溪洞精舍)라 불렀다.

뒤에 이름을 석파정(石坡亭)이라 바꾸고 대원군의 호도 석파로 하였다고 한다. 소유권은 이희(李喜)→이준(李埈)→이우(李堣) 등으로 세습되어오다가 6·25전쟁 직후 고아원 · 병원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현재 개인소유로 되어 있다. 서울 성곽의 북서쪽밖에 자리잡고 있어서 수려한 자연경관과 조선 말기의 건축술이 조화된 대표적 건축이다.

참고문헌

『서울문화재대관』(서울특별시, 1987)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