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진봉 ()

사복재집 / 송진봉
사복재집 / 송진봉
유교
인물
개항기 때,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며, 『사복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치승(致承)
사복재(思復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0년(헌종 6)
사망 연도
1898년(고종 35)
본관
여산(礪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며, 『사복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치승(致承). 호는 사복재(思復齋). 아버지는 송경옥(宋景玉)이며, 어머니는 언양김씨(彦陽金氏)로 김상수(金尙修)의 딸이다. 처음 이희석(李僖錫)에게 수학하고, 뒤에 김평묵(金平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명리를 따르지 않고 오로지 학문을 익히는 데에만 전념하여 여러 지구(知舊) 등과 강수계(講修契)를 세우고, 그의 고조부인 송익호(宋翼顥)가 지은 「추연백록동규(推演白鹿洞規)」를 강규(講規)로 삼고 강마(講磨)하는 데 힘썼다.

1888년(고종 25)에는 가평의 조종암(朝宗巖)을 내왕하면서 당시에 이름난 최익현(崔益鉉)·유중교(柳重敎) 등 여러 홍유(鴻儒)들과 교유하여 더욱 학문을 익혔다. 1895년에 을미사변이 일어나 안팎으로 일인의 세력이 발호하자, 기우만(奇宇萬)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능주향교(綾州鄕校)까지 달려갔다.

그러나 일이 실패로 돌아가자 향리로 돌아와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이 무렵 근기(近畿) 일원에서 이단을 배척하고 정학(正學)을 지키려는 위정척사학파의 일원으로 태서(泰西)의 학을 극력 배척하였고, 또 일본 등 열강의 외세에 대항하여 이를 물리쳐서 국기를 바로잡을 것을 주장하였다.

이기론(理氣論)에 있어서는 주리(主理)·주기(主氣) 어느 일방에 치우침을 경계하고, 이와 기는 하나로 합해진 일물(一物)로 해석하였다. 저서로는 『사복재집(思復齋集)』 6권이 있다.

참고문헌

『사복재집(思復齋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