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지질도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지하수를 함유하고 있는 각 대수층의 분포상태와 대수층에 부존된 지하수 유출입의 수리성 및 화학적 성질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구분하여 도면화한 그림. 지리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지하수를 함유하고 있는 각 대수층의 분포상태와 대수층에 부존된 지하수 유출입의 수리성 및 화학적 성질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구분하여 도면화한 그림. 지리용어.
내용

수문지질도라고도 하는 이 도면에는 지형·기반암에 대한 지질분포상태, 대수층의 지하수 함유능력, 기반암 등고선과 자연수위 등고선, 물리탐사와 시추 및 착정(鑿井:우물을 팜)에 대한 조사위치 등이 표시되고, 기존의 관정이나 용출수에 대하여 채수량과 심도 등을 포함한 관정의 내용과 지하수의 오염도·수질 등이 표시된다.

수리지질도는 1965년 이후 급속도로 성장한 경제개발과 국민생활 향상에 따라 급증된 용수해결을 위한 수자원종합개발의 일환으로서, 지하수자원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개발을 위하여 개발에 앞서 작성되어지는 지하수조사도면이다. 특히, 7∼10년간을 주기로 돌아오는 극심한 한발(가뭄)에 대비하고 중소도시의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로서의 지하수 공급이 증가되면서 수리지질도의 작성이 요구되었다.

1965년 하반기부터 1966년까지 전국적으로 총 19개 지구에 대한 농업용수원인 지하수의 부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농림부의 전천후 농업용수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조사를 실시한 것이 수리지질도를 작성한 효시라고 볼 수 있다.

1969년 5월 농림부는 전라남도 담양지구의 37개 지구 2만2620곳에 대한 수리지질기본도를 작성하였고, 1969년 12월 국립지질조사소에서 안성천유역(安城川流域)에 대한 수리지질도를 발간한 이후 1982년 5월과 12월에 갑천유역(甲川流域)과 보성·여수 지구, 1983년 가남지역, 1996년 임실지역, 1997년 영광지역에 대한 광역적인 수리지질도를 발간한 실적이 있다.

특히, 1981년 5월부터 한해극심 지구에 대하여 평시에 수맥도(水脈圖)를 작성함으로써 한발이 닥치면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전국 한해우심지역(旱害尤甚地域) 14만 4000곳에 대한 수맥과 수리지질에 대한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조사가 연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리지질도 작성과정은 예비조사단계와 현장조사단계를 거쳐 도면작성단계로 진행된다. 예비조사단계에서는 조사지역에 대한 수문과 수문지질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그 지역의 산업계획과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참조하여 수리지질도 작성을 위한 모든 준비를 한다.

현장조사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조사를 실시하며 현장답사·지표지질조사·물리탐사·수위관측조사·시추조사·대수층조사·측량조사와 부대조사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수리지질도면 작성단계에서는 현장조사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들을 종합, 분석한 후 지표지질분포상태·수위등고선·암반등고선·채수량구분도를 비롯한 모든 조사자료들을 1:5,000 내지 1:2만 5000 지형도 위에 기입함으로써 수리지질도의 작성을 마무리짓게 된다.

참고문헌

『지하수조사시험보고서』(농림부, 1967)
『농업용수개발10개년계획』(농수산부, 1983)
『수맥조사사업시행요령』(농업진흥공사,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