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청당 ()

목차
관련 정보
숙청당
숙청당
건축
유적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에 있는 조선후기 중국 5성과 송조 5현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에 있는 조선후기 중국 5성과 송조 5현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
내용

비봉산(飛鳳山) 아래 정선향교(旌善鄕校)의 문묘대성전 동쪽에 있다. 건평 3평 규모이며, 중국의 5성(五聖)과 송조5현(宋朝五賢)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이 영정은 송석와(松石窩) 이규복(李圭復)이 이재(李縡)에게서 전수받아 집에서 봉안한 것인데, 그가 죽고 후손들이 제대로 봉안하지 못하자, 1823년(순조 23)에 군수 이화연(李和淵)의 주선으로 사림 유덕일(劉德一)·최시철(崔時喆)·유정원(劉廷元)·유언지(劉彦芝)·최해붕(崔海鵬) 등이 숙청당을 짓고 영정을 옮겨 안치하였다. 현재 이 곳에는 이화연과 김유함(金有咸)이 쓴 숙청당기문(肅淸堂記文)이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