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술당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황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0년경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석인본. 1910년 이후에 간행된 듯하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유시(遺詩) 1수, 여지호이참판서(與芝湖李參判書)·역서친기(曆書親記)·충노김말산행실(忠奴金末山行實), 부록으로 가장·묘표·추록·묘표음기(墓表陰記)·묘지명·묘지 각 1편, 제문 11편, 고문(告文) 1편, 만사 23수, 사장보시(四章甫詩)·공주김진사소기(公州金進士所記), 문인진사송성제등상소(門人進士宋聖齊等上疏)·예조회계(禮曹回啓)·우암선생서찰(尤菴先生書札)·우암저참의공서(尤菴抵參議公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의 저술은 시와 이선(李選)에게 올린 편지, 역서를 보고 적은 소감, 충실한 종의 이야기를 적은 것 등 모두 4편뿐이다. 부록은 그의 사우관계를 알려주는 자료들인데, 이민서(李敏敍) 등의 제문과 송준길(宋浚吉)·이선·윤선거(尹宣擧)·윤증(尹拯) 등의 만사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