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곡집 ()

목차
관련 정보
야곡집(권7) / 삼관기
야곡집(권7) / 삼관기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극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극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0권 5책. 목활자본. 증손인 경희(敬熙)가 편집한 것을 8대손 종호(鍾灝)가 1893년(고종 30)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동수(尹東洙)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종호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45수, 권2에 소(疏) 10편, 권3·4에 서(書) 35편, 권5에 서(序) 4편, 기 2편, 지(識) 5편, 논 4편, 잠 3편, 설 3편, 권6에 잡저 7편, 축문 10편, 제문 13편, 비기(碑記) 2편, 행장 2편, 권7∼10에는 삼관기(三官記)가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스승 이명준(李命俊)과 박지계(朴知誡)·윤선거(尹宣擧)·조익(趙翼) 등과 왕래한 것이 있으나, 간혹 예설에 관한 문답 외에 학문적인 것보다는 시사(時事)나 안부를 살피는 것 등이 대부분이다.

이 시문집에서 저자의 면모가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역작은 「삼관기」이다. 「삼관기」는 심관(心官)·이관(耳官)·목관(目官)의 기(記)로, 저자가 평소 마음에 느끼고, 눈으로 보고, 귀로 들은 것을 기록한 것이다. 윤증(尹拯)이 “「삼관기」는 모두 공(公)이 실지로 노력을 보인 것이니, 이를 보면 그의 천리(踐履)의 독실함을 알 수 있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금을 통한 고인(古人)들의 언행과 역사적 사실, 인물·지리·풍속·예론·제도·경전의의(經傳疑義) 등 각 분야에 걸쳐 축조, 서술하여 놓았다.

이밖에 상목편(常目編)·일록(日錄)·잡기(雜記)·폄기요결(砭己要訣)·영일록(永日錄)·의례문답(疑禮問答)·주자대전의의(朱子大全疑義) 등이 있는데, 모두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효종실록(孝宗實錄)』
『명재집(明齋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