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송전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일대에 있는 신석기시대 중기 생활유적.
이칭
약칭
송전리유적
유적
건립 시기
신석기시대 중기
면적
1호 주거지 80㎡, 2호 주거지 23.5㎡
소재지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내용 요약

양양송전리유적은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일대에 있는 신석기시대 중기 생활유적이다. 이곳은 동명천 하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해안사구 지대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신석기시대 주거지 2기와 야외 화덕자리 5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강원도 동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시기 구분은 전기의 양양오산리선사유적의 토기류나 융기문토기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고, 빗살무늬토기가 확인되는 시기부터 중기에 해당된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일대에 있는 신석기시대 중기 생활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양양송전리유적(襄陽松田里遺蹟)은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일대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동명천 하구를 중심으로 해안을 따라 북서-남동 방향으로 형성된 주1 지대의 남쪽 끝부분에 자리한다.

양양송전리유적에서는 두 차례의 발굴 조사를 통하여 신석기시대 유구가 확인되었다.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 23-1번지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 신석기시대 주거지 2기와 야외 화덕자리 3기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송포초등학교 내 옥외 체육관 부지에서 야외 화덕자리 2기가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1호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둥근 사각 형태이고, 80㎡ 크기의 대형 주거지이다. 바닥은 모랫바닥을 그대로 이용하였고, 화덕자리는 확인되지 않았다.

2호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모서리가 둥글게 다듬어진 사각 형태이고, 면적은 23.5㎡이다. 바닥은 모랫바닥을 그대로 이용하였고, 주거지의 중앙에는 타원형으로 돌을 돌려서 만든 화덕자리가 설치되었다. 화덕자리 주변에서 다량의 탄화된 도토리가 출토되었다.

조리 시설로 추정되는 야외 화덕자리의 평면 형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반타원형의 수혈 굴착면 내에 불의 영향을 받은 작은 깬돌과 흑색 모래가 채워져 있다. 깬돌은 주로 야외 화덕자리의 윗면에서 노출되었고, 크기는 대체로 지름 1m 내외의 소형이다.

유물은 주거지에서 주로 출토되었고, 토기류와 석기류가 확인되었다. 토기의 모양은 발형(鉢形) 또는 주2의 뾰족바닥 또는 둥근바닥 모양의 토기이고, 일부 대형 토기로 추정되는 것도 있다.

토기의 문양 구성은 1호 주거지의 경우 아가리에 단사집선문, 격자문, 삼각집선문, 능형집선문 등 태선침선문계 문양이 시문된 것이 다수 출토되었고, 아가리 종속문은 삼각집선문, 변형된 거치문이 사용되었다. 몸통 문양은 횡주어골문이나 사선문을 시문하거나 문양 없이 정면하였다.

2호 주거지에서는 아가리에 단사선문, 구연부 종속문은 거치문, 변형된 집선문을 배치하고, 몸통에 횡주어골문 또는 종주어골문, 밑바닥에는 방사상의 사선문을 시문한 토기가 출토되었다. 석기류는 돌살촉, 그물추와 같은 수렵 · 어로용 석기와 갈판 · 갈돌 세트 등의 가공구, 돌도끼, 숫돌 등의 공구류가 출토되었다.

의의 및 평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시기 구분은 전기의 양양오산리선사유적의 토기류나 주3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고, 주4가 확인되는 시기부터 중기에 해당된다.

신석기시대 중기는 다시 구분문계 토기가 출토되는 중기 전반과 태선침선문계 토기가 출토되는 중기 후반으로 나뉘는데, 양양송전리유적의 1호 주거지에서는 태선침선문계 토기가 출토되었고, 2호 주거지에서는 태선침선문계 토기보다 이른 시기의 구분문계 토기가 확인되었다.

주거지에 대한 주5 결과 1호 주거지 4467±26B.P.(보정연대 3340~3080B.C), 2호 주거지 4625±28B.P.(보정연대 3520~3420B.C)로 2호 주거지가 좀 더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으나 그 시간 차이는 길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구분문계 토기와 태선침선문계 토기가 길지 않은 시간 차이를 두고 거의 동일 층위에서 확인되는 양상은 양양지리유적이 조사된 이래 이곳뿐만 아니라 강릉 초당동 유적에서도 확인되었다. 다만, 구분문계 토기 단계에서 태선침선문계 토기 단계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양상이나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 태선침선문계 토기의 전파 경로에 대한 근거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에 아쉬움이 있다.

참고문헌

기타 자료

「襄陽 松田里遺蹟Ⅱ–양양 송포초 소규모 옥외체육관 신축공사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예맥문화재연구원, 2020)
「襄陽 松田里遺蹟–양양 송전리 23-1번지 주택신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예맥문화재연구원, 2008)
주석
주1

해안을 따라 발달한 모래 둔덕. 해류나 파도에 의하여 운반된 모래가 바람에 날려 낮은 구릉 모양으로 내륙 쪽으로 이동하면서 쌓여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2

그릇 몸통의 지름보다 속이 깊은 바리.    우리말샘

주3

무늬가 겉면에서 튀어나온 토기.    우리말샘

주4

표면에 빗살 같은 줄이 새겨지거나 그어져 있는 신석기 시대의 토기. 붉은 찰흙을 이용하여 표면에 빗살 같은 평행선이나 물결 모양을 이룬 점선 따위의 기하학적 무늬를 넣어 얄팍하게 만들었다. 핀란드, 러시아, 몽골, 한국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5

탄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에 의하여 절대 연령이나 연대를 재는 방법. 생물이 죽으면 이산화 탄소의 결합이 끊겨 사체(死體) 속의 탄소 14가 일정한 반감기로 계속 줄어들기 때문에 시료 속의 탄소 14의 양을 근거로 그 생물이 살았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