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건물. 1980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3출목(三出目) 7포작(七包作) 집이다.
대웅전은 목조의 와즙[瓦葺 : 기와잇기]이고 천태산(天台山)을 배경으로 해서 신좌을향(辛坐乙向)으로 되어 있다. 130㎝ 높이의 석축 위에 여러 차례 불타고 허물어져서 중창한 나머지, 신라 · 고려시대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고, 조선 중기의 모습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대웅전 안은 정면에 삼존불상이 안치되어 있는데 중앙이 석가여래좌상이고, 좌우 양쪽이 관음보살좌상이다. 삼존불 뒷벽에는 후불탱화(後佛幀畫)가 걸려 있다.
서쪽 벽에는 신장탱화(神將幀畫), 동쪽 벽에는 삼장탱화(三壯幀畫), 뒤쪽에는 칠성(七星) · 독성(獨聖) · 상단정신조성탱화(上壇精神造成幀畫)가 걸려 있고, 동쪽 앞편에 동종(銅鐘)이 놓여 있다. 이 건물은 1980년 해체, 복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