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월송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민무늬토기 · 홈자귀 등이 출토된 유물산포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민무늬토기 · 홈자귀 등이 출토된 유물산포지.
내용

영산강 강구를 서쪽으로 바라보는 높이 30m 정도 구릉의 동쪽 경사면에 위치하며, 청동기시대 후기의 취락지가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1960년 김원룡의 지표조사에 의하여 타제납작네모도끼[打製扁平四稜斧] 1점, 홈자귀[有溝石斧] 파편 2점, 돌끌 1점, 마제유병(磨製有柄)돌살촉 2점, 삼각형석도 파편 5점과 민무늬토기·김해토기 파편 등이 채집되었다. 네모도끼는 사질혈암(砂質頁岩)으로 만들었는데, 길이 22.2㎝이며 날 쪽만 약간 갈았을 뿐이다.

홈자귀는 두개 모두 혈암제이고 단면은 장방형인데, 등 쪽보다 홈이 있는 배 쪽의 너비가 좁은 것이 특이하다. 돌살촉은 점판암제로 완전한 것은 길이 5.3㎝의 나뭇잎형이다. 삼각형석도는 완전한 것 한개와 파편 네개인데 재료는 점판암·규장암·섬록암·응회암·사암이며, 완형은 등길이 10.15㎝, 두께 0.4㎝의 이등변삼각형에 구멍이 두개 뚫려 있다.

날은 한쪽만을 간 외날[單刃]이며 서로 반대쪽에 붙어 있다. 민무늬토기는 석립이 섞인 태토의 납작바닥[平底]이고, 김해토기는 문살무늬[格文]와 삿무늬[繩蓆文]의 전형적 형식인데 이들 토기와 석기의 공존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이 유적은 유물산포지이지만 김해토기를 제외한 나머지 유물들은 공존유물(共存遺物)이라고 판단된다. 영산강 유역의 민무늬토기 후기 문화내용의 한 자료로, 또 삼각형석도의 호남지방발생설을 뒷받침하는 중요자료로서 의의가 있고, 이 지방에 드문 김해토기 산포지의 하나로서 귀중하다.

참고문헌

「영암군 월송리의 석기문화」(김원룡, 『진단학보』24, 1963)
집필자
김원룡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