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35m. 1982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탑은 상륜부(相輪部)를 제외하고는 제 짝을 갖추고 있어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2층기단 위에 세운 일반형 석탑으로 아름다운 탑이다.
기단면석에는 신라와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안상(眼象)을 새기고 초층탑신에는 문비(門扉)와 자물쇠가 새겨져 있다. 이와 같은 수법은 신라시대 유행하던 것으로 신라문화의 영향을 받은 고려시대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상륜부는 대부분 없어졌으나 노반(露盤 : 탑의 최상부 옥개석 위에 놓아 복발 · 앙화 · 상륜 등을 받치는 장식)과 보개석(寶蓋石)은 남아 있다.
이 탑의 부근에는 민가가 있는데 고려시대의 기왓조각이 마을에서 발견되고 있어 고려시대 절터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균제된 고려식 석탑으로 전체 높이는 3.15m, 하대석 너비 1.88m, 높이 24㎝, 초층옥신석 너비 50㎝, 높이 54㎝이다.